새해 소원 기도
새해에는 사랑의 마음 피어 올라
행복의 염원 가슴 깊히 소망 실어
서로 서로 챙겨가며 한마음 되어
내일 처럼 아끼고, 사랑하게 하소서
무명으로 아프고 지친 마음 일으켜
희망의 노래로 서로의 소원을 빌고,
승리의 깃발 높히 들어 우리 하나로
세상 정겨운 평화 가득하게 하소서
모든 이의 소원이 화목을 이루어서
이웃과 이웃들이 사랑으로 웃으며,
선한 이들 아름다운 세상 이루어
불행한 이웃들을 살펴 보게 하소서
서로 서로 행복하게 모든 소원 이루어
세상모두 화목하게 가진 것을 나누이며
태초부터 하나에서 이룩한 원대한 세상.
모든 꿈을 이뤄 행복한 하나되게 하소서
[상차리기]
일반적으로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하고,
제사상 앞은 남(南), 지방 붙이는 쪽을
북(北)으로 하고 신위는 받침대를 따로 만들어
모셔 올려 놓는 것이 예법입니다.
상을 놓는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湯), 넷째 줄에 적과 전,
다섯째 줄에 메(밥)와 갱(국)입니다.
|
* 여기에 적힌 사항은 일반적인 사항이며, 지역이나
집안 풍습에 따라 각기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조율시이(棗栗枾梨) 진설법
진설자의 왼편으로부터 조(대추), 율(밤), 시(곶감),
이(배)의 순서로 진설하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산자, 약과)를 진설한다.
*홍동백서(紅東白西) 진설법
붉은색 과일을 동쪽(참사자 우측),
흰색과일을 서쪽(참사자 좌측)에 진설하고
그가운데 조과류인 다식, 산자, 약과 등을 진설한다.
반찬류를 놓는 순서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포(문어, 명태, 오징어 등)를 왼편에,
식혜를 오른편에 진설하며 침채(김치, 동치미 등),
숙채(불에 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
청장(간장)을 그 가운데 놓는다.
탕을 놓는 차례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물고기 탕은 동쪽(우측), 육류탕은 서쪽(좌측)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채소, 두부 등으로 만든 소탕을
진설하되 단탕, 삼탕 등 반드시 음수(홀수)로 쓴다.
적과 전을 놓는 차례
적은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을 말하며
전은 기름에 튀긴 음식을 말한다.
어동육서(魚東肉西) 진설법에 의하여
어류를 동쪽(우측)에, 육류를 서쪽(좌측)에 진설하며
그 가운데 채소, 두부를 진설한다.
두동미서(頭東尾西)라 하여 어류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한다.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접동잔서(?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습니다.
*좌반우갱(左飯右羹)
: 메(밥)는 왼쪽에, 갱(국)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남좌여우(男左女右)
: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로 모십니다.
차례상 차릴때 주의 사항!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안 쓴다.
(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진다)
*생선 중에 '치'로 끝나는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이다.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설에는 밥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밥대신 송편을 놓아도 된다.
설 명절 잘 지내세요
『가장행복한공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