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전기기능장 11

개루프와 폐루프의 차이점

개루프와 폐루프의 차이점 자동제어 / 시스템제어 이론 1. Open Loop System이란? ○ 제어 시스템의 종류 제어 시스템은 자동제어의 개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제어 시스템은 2가지 기본 형태인 개루프 제어 시스템(Open Loop System)와 폐루프 제어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이 있다. [기본 제어 시스템] ○ 개루프 제어 시스템(Open Loop System)의 정의 시스템의 출력을 입력에 피드백하지 않고 기준입력만으로 제어신호를 만들어서 출력 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개루프 제어시스템 ] 개루프 제어 시스템은 궤환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기로 공정을 직접 제어한다. • 플렌트란 제어하고자 하는 물리적 대상을 말하며, 제어기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를 말한다...

전기기능장이란

전기기능장 요약 전기기능장이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능장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응시자는 객관식 필기시험과 복합형 실기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두 시험 모두 100점을 만점에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한다. 목차 1. 기본정보 2. 자격정보 3. 시험정보 4. 활용정보 5. 자격증 관계도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1) 자격 개요 ① 전기기능장이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기능장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전기기능장 자격은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

가공송전선로의 진동4가지

가공송전선로의 진동 1. 개 요 가. 가공송전선로에 5m/s 정도의 미풍이 전선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불 때는 그 전선주위에 공기의 소용돌이가 생기고, 이 때문에 전선의 연직방향으로 교번력이 작용하여 전선은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나. 이 진동수가 전선의 경간 및 단위길이 당 무게 등에 의해서 전해지는 고유진동수와 같게 되면 공진을 일으켜서 진동을 계속하게 된다. 다. 실측에 의하면 진동주파수는 중공전선에는 4~5Hz, ACSR에서는 6~25Hz에서 진동의 경도가 가장 많이 일고 있다고 한다. 또 진동의 절점간 거리는 3~10m 정도이고, 상하로 진동되는 진폭은 전선지름의 0.5~2배 정도라고 한다. 2. 송전선 진동의 종류 및 특성 가. 진동의 종류 다도체 송전선로에 가해지는 진동은 1) 미풍진동 ..

플런저

플런저 [ plunger음성듣기 , プランジャ ] 피스톤과 같이 실린더의 조합에 의하여 유체의 압축이나 압력의 전달에 사용하는,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이 일정하게 만들어진 기계 부품. 일반적으로 지름이 작고, 긴 것을 말하고, 지름이 크고 짧은 것을 램이라 부른다. 펌프ㆍ압축기ㆍ액압(液壓) 프레스 등에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플런저 [plunger, プランジャ] (도해 기계용어사전, 1990. 4. 1., 기계용어편찬회)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목차 1. 기본정보 2. 자격정보 3. 자격기준 4. 활용정보 5. 자격증 관계도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전문자격증 (2) 시행기관 : 고용노동부 (3) 자격요건 : 일정한 학력 또는 경력자 (4) 홈페이지 : www.moel.go.kr/ 2. 자격정보 (1) 직업훈련능력개발교사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시행령에 따른 자격기준을 갖추고 고용노동부장관으로부터 자격증을 발급받은 자를 말한다.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학력 또는 경력에 따라 1·2·3급으로 구분된다. (2) 주요 업무 : 직업훈련능력개발교사는 직업전문학교, 공공직업훈련원 등에서 근로자 또는 근로자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직업에 필요한 기능과 지식을 가르치는 업무를 담당한다. 해당 직업에 필요한 기..

전해콘덴서

전해콘덴서가 폭발을 하는 이유는 콘덴서 내부의 온도 급상승입니다 전해콘덴서에는 오일을 사용하므로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되면 오일성분이 증기를 발생시키고 내부 압력이 올라 가면서 폭발하는것이므로 1. 콘덴서에 내부 압력이 올라가면 스스로 압력을 배출할수 있는 구조로 제작 2. 전해콘덴서외함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므로 상단에 일정 압력이상이 걸리면 스스로 가스배출구를 열어 내부 팽창된 가스를 배출하면 폭발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을것입니다 참고로 예전에 생산된 제품에는 이러한 장치가 없었으나 현재 생산되는 전해컨덴서는 X 자로 갈라지도록 하거나 압력이 배출되도록 별도의 배출구가 있습니다

전기 용어정리

단위 1A=1C/1s 1F=1C/1V 1V=1J/1C 1 T = 1 Wb·m−2 =10000G(가우스) 패럿[ farad , F] - 전기용량단위로 기호는 F이며, 1F은 1C의 전하를 주었을 때 전위가 1V가 되는 전기용량을 말한다 웨버 [weber ,Wb] -자기력선속의 단위로 기호는 Wb이고, 자기력선속밀도가 1만G인 균일한 자기장에 수직인 1m2의 평면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속을 1Wb로 정한다 E=hv=hc/λ (단위) E = (eV) = [(1.6*10^-19C) * V] = C*V=J (볼트 정의 1V=1J / 1C =>1J= 1V*1C) h*v = (J*s) * (1/s) = J hc/λ =[ J*s ] *[ m/s ] / [ m ] = J 19장 전기재료 Valence Band / Condu..

정전용량,커패시턴스,

커패시턴스(Capacitance) 축전기(capacitor 커패시터) 또는 콘덴서(condenser)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으로 기호는 C를 사용하고 단위는 패럿(F, Farad)을 사용합니다. 정전 용량(커패시턴스)은 전극이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극의 모양과 전극 사이의 유전체 종류에 따라 값이 결정 됩니다. C = Q/V[F] 로 1F는 1V의 전압을 가해서 1C의 전하가 축적되는 정전 용량을 말합니다. - 대전 : 어떤 물질이 양 또는 음전기를 띠는 것 - 대전체 : 전기를 띤 물체 - 충전 : 전기적으로 중성인 대전체가 전하를 가지게 되는 것 - 방전 : 대전체가 가지고 있던 전하를 잃어 버리는 것 - 접지 : 도체를 대지에 연결하는 것 - 정전기(靜電氣, Sta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