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10

주역:形으로서 聖人은 표준 통찰자이자 표준 판단자이지요...

形이 인식 주체일때 인식대상을 통찰하는 통찰자는 일반 통찰자와 표준통찰자로 나눌수 있지요. 일반 통찰자가 아닌 표준 통찰자는 "인식 대상을 정확하고 명확한 판단을 이끄는 사람"이 되며 이런 이를 표준 판단자라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표준 통찰자이자 표준 판단자는 "聖人"이 아닐까요.^^ 聖..

주역:인식주체와 인식대상으로서의 形이란...

聖人을 지향하는 과정적 존재로서의 形은 인식론적으로 어떻게 설명 될 수 있는가? "形(人)이란? 개체로서의 자신의 의미를 상황속에 적용시키는 존재"이지요 이러한 形(人)의 인식론적인 의미는 보는 자로서와 보여지는 자로서의 두 역할로 구분될 수 있겠지요. 보는 자로서의 역할을 본다면, " 한 個..

주역:象>形>物의 층차적 형식과 이 내용의 의미란...

주역에서 形은 形而上과 形而下의 매개체이자 두 영역인 道 와 器을 아우르는 자가 되지요. 이러한 形의 의미를 순수한 字意(글자의 뜻)에 근거해 살핀다면.. - 나타날 形 - 드러날 形 - 꼴 形 - 형상 形 의 네가지 의미 가운데 <나타날 形 과 드러날 形> 과 <꼴 形 과 형상 形>으로 구분하여 앞의 &..

주역:形은 地를 내포하며 모든 物象을 나타내는 言表일뿐...

제가 쓰고 있는 주역에 관해서는 그동안 주역을 접했던 분이라면 그동안 공부를 하였던 주역이란 것과는 좀 관점이 다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넓게 바라본다면 많은 주역이야기 들 중 주역의 한 줄기일 뿐 입니다. 오늘은 形(형)이 地(지)를 내포하는 것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합니다. 한퇴지의 "..

주역:주자와 한퇴지에 따른 形이 지닌 의미

形(형)의 구체적인 개념을 朱子(주자)와 韓退之(한퇴지)의 표현에 따르면... 첫째 주자는 "形을 山川動植之 屬(산천동식지 속)"으로 정의 하였는데... 이는 形(형)을 無生物(무생물) 과 生物(생물)로 분류하여 無生物(무생물)은 鑛物(광물) 로 生物(생물)은 植物(식물) 과 動物(동물)로 구분하였지요. 이때 ..

주역:보는자의 정당한 판단근거 확보하기...

認識 主體(인식 주체) 즉, 보는 자로서 모든 주변의 것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는 데... 그것은 보는 자가 모든 주변의 것을 살피거나 파악을 하는데 보는 자의 판단이 정당하다는 판단근거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정당하다는 판단근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

주역 : 而가 내적으로는 善이고 외적으로는 義이니...

而(이) 가 내적으로는 善이 되고 외적으로는 義가 된다면 이를 실천하는 모양을, 즉 善과 義를 실천하는 사람을 四書 중 한권인 맹자에서 맹자는 "踐形(천형)"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踐形(천형)의 의미는 개인에게는 自己完成(자기완성) 혹은 個體完成(개체완성)으로 보여지며 다른 것들과의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