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남산이야기 1257

역사속의 거짓은 망조의 역사를 만든다.

역사속의 거짓은 망조의 역사를 만든다. 역사적으로 조작과 모략이 난무한 한반도는 스스로 망조의 길을 걸었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라는 현실적인 기준이 있는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기준이란 판단을 할 수 있는 힘이 된다. 그러나 기준이 혼란스럽다면 이미 기준은 사라져버린 것이다. 지금의 대한민국의 현실은 기준의 혼란 속에 무엇이 거짓에 기반이 되고 참에 기반이 되었는지를 국민들에게 알지 못하게 만들어 가고 있는 것 같다. 몇 년간의 대한민국은 공정과 정의가 참이라고 하면서 맹공을 퍼붓다가는 시간이 흘러가면 맹공을 퍼부었던 그들이 무엇이 참이었고, 무엇이 거짓이었는지 스스로 알지 못하고 혼란에 빠지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국민들의 판단기준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공정과 정의를..

대한민국이라는 동네는

지구라는 동네는 5가지 색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하늘색, 초록색, 황색, 흑색, 백색이다. 오색의 조화 속에 삶의 현장인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관계 맺는다 하고 관계 맺는 사람을 인간이라 부르게 됩니다. 사람의 단계에서 인간이 되는 단계를 건너는 과정을 선함과 정의로움에 근거를 한다면 바르게 사는 사람이라 말하고 그러한 사람들의 공동체를 조화로운 삶이 구현되는 세상이라 말하게 된다. 그렇다면 불선과 불의를 행하는 사람은 관계를 잘못 맺는 것이며 부적절한 관계이자 불선과 불의에 익숙한 미숙한 관계에 익숙한 자이다. 관계의 미숙함을 바람직한 관계로 바꾸고 가르치기 위해 교육이란 것과 교정이란 것이 있다. 교육과 교정의 기본 원리는 윤리 혹은 도덕 또는 상식이라는 것에 기반을 둘 ..

인간이 죄(不善)를 공정하게 다룰 수 있는가?

인간이 죄(不善)를 공정하게 다룰 수 있는가? 우리는 공동체 사회를 살아가는 일원으로서의 공정하게 죄를 다룰 수 있는가?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이라고도 말합니다. 이 문장은 인간은 공정하기 어려운 동물이 된다는 말이 아닌가? 이익이 앞서면 공정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맞다. 왜냐하면 이익이란 개인이나 집단이나 자신과 소속집단의 이익을 위한다는 나눈다는 개념보다는 안주겠다는 개념이 더 강한 것이 아닌가? 부드럽게 표현해서 안 주는 것이지 이익이란 상대나 공동체의 것을 빼앗는 행위에 더욱 더 가까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부처님, 예수님, 공자, 맹자,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부터 롤스의 정의론에 이르는 현대까지 지속적으로 정의를 논하고 있다는 것은 이익이 곧 의(義)에 부합되지 않는 공동체를 형성해..

민주주의(民主主義) 시대에 따른 오륜(五倫)의 해석

2022년은 민주사회이다. 민주(民主)이 단어는 ‘국민이 주인이다.’라는 단어입니다. 좀 더 강하게 말하면 ‘유권자(즉 투표권자)가 주인.’이라는 말이며 더욱 더 강하게 말하면 ‘내가 주인이다.’라는 표현입니다. 이 시대의 주인으로서 오륜(五倫)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해석을 해 보려합니다. 오륜(五倫)이란? ‘삼강(三綱)과 더불어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도덕지침을 말한다.’로 되어 있습니다. 1. 오교(五敎)라고도 한다. 인생에 있어 대인관계를 5가지로 정리하여 서로 지켜야 할 의무를 규정한 것으로, 오상(五常)과 함께 유교 윤리설의 근본을 이룹니다. 《맹자(孟子)》에는 부자(父子 : 부모와 자식)·군신(君臣 : 임금과 신하)·부부(夫婦 : 남편과 아내) ·장유(長幼 : 어른과 어린이) ·붕우(朋友 ..

정치인의 등급 과 한국사회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우리의 동·서양 선조들은 인간의 등급을 1등급, 2등급, 3등급 . . .등으로 나누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이 말한 1등급 인간은 덕(德)이 있는 사람입니다. 그들이란 공자와 석가와 소크라테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등이 될 것입니다. 우리의 조상으로는 가깝게는 퇴계와 율곡, 정약용과 같은 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2등급 인간이란 의(義)로운 인간입니다. 덕(德)있는 인간을 찾으려 했으나 찾아지지 않으니 의(義)로운 인간을 찾게 된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람이 스승인 공자가 인(仁)을 말하며 사회를 개혁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자 맹자는 의(義)를 강조하며 사회를 개혁하려 했습니다. 맹자의 강력한 사회개혁을 위한 대표적인 의지의 표현이 역성혁명(易姓革命)입니다. 민..

三豊論(삼풍론)

三豊論(삼풍론) ​ 三旬九食三豊穀 삼순구식 삼풍곡을 弓乙之中 궁을지중 차자보세 第一豊 제일풍에 八人登天 팔인등천 惡化爲善一穀 악화위선 일곡이요 第二豊 제이풍에 非雲眞雨 비운진우 心靈變化二穀 심령변화 이곡이요 第三豊 제삼풍에 有露眞露 유로진로 脫劫重生三穀 탈겁중생 삼곡이라 三豊三穀世無穀之 삼풍삼곡세무곡지 十勝中 십승중에 出現 출현하니 鄭氏黎首之民 정씨여수지민으로 兩白三豊 양백삼풍 일넛다네 世末大歉飢死境 세말대겸 기사경에 拯濟萬民天穀 증제만민천곡으로 和氣東風久盡悲 화기동풍구진비에 天下蜂蝶呼來 천하봉접호래하니 不死消息永春節 불사소식 영춘절에 廣濟蒼生 광제창생하여보세 天理三豊 천리삼풍알았거든 地理三豊 지리삼풍알을세라 三豊之理豊基延豊 삼풍지리 풍기연풍을 地理三豊傳 지리삼풍 전했으니 ​ 한 달에 아홉 끼만 먹어도 ..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으로 대표된다. 외국어 표기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영어) 四次 産業革命(한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이 용어는 2016년 6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Davos Forum)에서 포럼의 의장이었던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이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이슈화됐다. 당시 슈밥 의장은 "이전의 1, 2, 3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적 환경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은 것처럼 4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 질서를 새롭게 만드는 동인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4차 산..

종교와 철학 그리고 사상이란?

종교와 철학 그리고 사상이란? 종교와 철학 그리고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종교란? 종교의 대표적인 것은 4대 종교로 BC4세기의 불교, 유교, AD0세기의 기독교, AD6세기의 이슬람교이다. 이들 종교는 ‘왜 발생하게 되었을까?’ 아마도 당시의 사회 개혁을 위해서는 제대로 된 성찰만이 동시대의 개혁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을 한 개인적인 주장에 많은 사람이 동조하면서 그들만의 공동체를 구성하면서 조직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렇게 구성된 집단이 종교적인 단체를 만들었을 것이다. 이들 단체는 석가모니, 공자, 예수 그리스도, 모하메드라는 사람들에 의해 주장되었던 내용이 많은 사람에게 공감이 되면서 이들을 옹호하는 구성체가 커지는 집단이 형성된 것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내용은 변화하지 않는 진리를 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