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원통불법 요체 13

[스크랩] 제6장 금타(金陀) 스님의 주창(主唱) - 제1절 현기(懸記)

법문 듣기 (17:11) ☞ 제1절 현기(懸記) 지금까지 말씀드리는 가운데 그때그때 금타 스님의 금강심론(金剛心論)에서 인용도 하고 또는 첨가하여 말씀드려 왔습니다마는 금강심론을 다 소개할 수는 없고 몇 가지만 스님의 독창적인 내용을 추려서 소개하겠습니다. 불교에서 현기(懸記)라는 것은 예언이나..

[스크랩] 제6장 금타(金陀) 스님의 주창(主唱) - 제2절 호법단 4차 성명서(護法團四次聲名書)

법문 듣기 (03:35) ☞ 제2절 호법단 4차 성명서(護法團四次聲名書) 護法團 四次 聲明書(호법단 4차 성명서) 本(본) 護法團(호법단)은 世界(세계) 四聖說(사성설)을 打破(타파)하는 同時(동시)에 菩薩十地(보살십지)를 基幹(기간)으로 하야 老子(노자)를 七地(7지), 基督(기독)과 孔子(공자)를 五地(5지), 마호..

[스크랩] 제6장 금타(金陀) 스님의 주창(主唱) - 제3절 우주론(宇宙論) - 1. 서문(序文)

법문 듣기 (10:41) ☞ 제3절 우주론(宇宙論) 1. 서문(序文) 제가 이렇게 금강심론(金剛心論)을 말씀 드리니까 ‘자기가 받드는 스승이니까 치켜세우는구나’ 하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런지 모르지마는 저는 이미 황혼이 짙은 수행자의 분상에서 그 정도로 속되지는 않습니다. 앞으로 과학과 불교와의 관계..

[스크랩] 제6장 금타(金陀) 스님의 주창(主唱) - 제3절 우주론(宇宙論) - 2. 우주(宇宙)의 본질(本質)과 형량(形量)

법문 듣기 (10:41) ☞ 제3절 우주론(宇宙論) 2. 우주(宇宙)의 본질(本質)과 형량(形量) 우주의 본질(本質)과 형량(形量)은 백항(百項)으로 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 몇 항목만 골라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左旋塵(좌선진)과 右旋塵(우선진) 地塵(지진)의 4/5는 水塵(수진)이며 1/5은 火塵(화진)이므로 이를 ..

[스크랩] 제6장 금타(金陀) 스님의 주창(主唱) - 제4절 관음문자(觀音文字)

법문 듣기 (02:15) ☞ 제4절 관음문자(觀音文字) 금타 스님이 창제한 ‘관음문자(觀音文字)’가 있는데 이것은 우주에 있는 모든 존재의 음성을 다 빠짐없이 표기 할 수 있는 문자로서 제정이 된 것입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의 본 뜻을 살리고 또는 철두철미 부처님의 법인 우주의 도리에 입각한 문자..

[스크랩] 제7장 質疑應答(질의응답)과 廻向法語(회향법어)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 1. 釋迦世尊(석가세존)의 成道相(성도상)

법문 듣기 (02:18)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1. 釋迦世尊(석가세존)의 修道(수도) 成道相(성도상)은 方便(방편)인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금생(今生)에 대각(大覺)을 성취하셨지만 과거 전생(前生)에 이미 등각(等覺)을 성취한 보살로서 금생에는 단순히 방편(方便)으로 중생제도를 위해서 출현하셨..

[스크랩] 제7장 質疑應答(질의응답)과 廻向法語(회향법어)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 2. 法藏(법장)과 極樂世界(극락세계)

법문 듣기 (04:42)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2. 極樂世界(극락세계)는 法藏(법장)의 果報(과보)로서 建立(건립)되었는가? 그 다음에 법장(法藏)보살의 과보로서 극락세계가 건립이 되었다는데 정말 그런 것인가? 하는 질문입니다. 우리가 범부적인 차원으로 정토경전(淨土經典)을 본다면 이해 못할 점..

[스크랩] 제7장 質疑應答(질의응답)과 廻向法語(회향법어)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 3, 極樂世界(극락세계)는 서방에만 있는 것인가?

법문 듣기 (04:42)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3, 極樂世界(극락세계)는 西方(서방)에만 있는 것인가? 육조단경(六祖檀經)에서 6조 스님 말씀이 서방(西方) 정토(淨土) 극락세계(極樂世界)에 관해서 비판적인 말씀을 하신 대목이 있습니다. 동쪽에서 죄를 지으면 참회정진의 공덕으로 서쪽의 안락세계에 ..

[스크랩] 제7장 質疑應答(질의응답)과 廻向法語(회향법어)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 4. 實相觀(실상관)과 禪(선)과 念佛禪(염불선)

법문 듣기 (09:33)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4. 實相觀(실상관)과 禪(선)과 念佛禪(염불선)은 어떤 관계인가? 선(禪)이란 가상(假相)과 가명(假名)을 여의고 불심(佛心) 곧 중도실상(中道實相)의 본체를 참구(參究)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본 체성(體性)을 여의지 않으면 비단 화두참구(話頭參究)뿐만 아니..

[스크랩] 제7장 質疑應答(질의응답)과 廻向法語(회향법어)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 5. 공부 境界에 대하여

법문 듣기 (09:22) ☞ 제1절 질의응답(質疑應答) 5. 공부 境界에 대하여 공부 경계(境界)에 대해서 질문하셨습니다. 공부할 때에는 여러 가지 경계가 많이 나옵니다. 우리 마음은 바로 우주의 생명 자체이기 때문에 마음 가운데에는 지옥도 있고 아귀도 있고 축생도 있고 천상도 있고 또는 극락이 다 잠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