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주역이야기 49

인격

인격 [ 人格 , Person음성듣기 ] 형이상학의 주변적인 하나의 용어에 불과했던 인격 개념을 일거에 윤리학 뿐만 아니라 철학 일반의 가장 주요한 개념으로 높인 것이 칸트였다. 직접적인 어원인 라틴어 페르소나(persona)는 기독교 스콜라 신학의 용어로서 삼위일체론에 관계되는 이 용법이 18세기까지 지배적이었다. 여기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온 것이 홉스인데, 그는 『리바이어던』 등의 저작에서 로마법의 용법도 받아들이는 가운데 인격을 기체와 실체로부터 구별하여 배우의 역할처럼 교대 가능한 것으로 삼았다. 신은 성부, 성자, 성령이라는 세 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홉스는 이러한 역할로서의 인격 개념을 법철학에도 응용하여 귀책능력의 주체로 삼았다. 그 후 로크가 자기의식의 주체인 심리학적 인격 개념을..

십승지란

정감록 산책(9~12) 십승지란 | 정감록 즐거운 여행 2005. 7. 19. 16:07 http://blog.daum.net/psyang9/2840485 (9) 십승지란 어디인가 “나로 말하면 흔히 서양의 대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에 견주어 조선 최고의 예언자라 불리는 남사고(南師古·1509∼1571)라오. 호는 격암(格菴)이라 했고, 학문을 업으로 삼았으되 평생 유가(儒家)의 경전이라곤 그저 ‘소학(小學)’을 즐겨 읽었을 뿐, 그밖엔 온 마음을 쏟아 역학·풍수·천문·복서(卜筮)·관상 등을 즐겨 배웠고, 마침내 도통해 대예언가 소리를 듣게 된 거였지. 오늘날에도 ‘남사고비결’이니 ‘격암유록’이란 비결 책을 내가 쓴 것으로 다들 믿고 있다던데. 그야 어쨌든 내 예언은 항상 정확히 들어맞았소.1575년(선조8..

彎弓(만궁)

彎弓(만궁) 弓弓相和向面對坐(궁궁상화향면대좌) 灣弓之間出於神工(만궁지간출어신공) 人人讀習無文道通(인인독습무문도통) 위 내용은 이미 푼것처럼 현정권하에 진행되고 있는 일이다. 전정권에서 弓弓(궁궁)이 불화를 뜻하여 힘쓰고 애쓰는 것이 싸움을 전제했다면, 현정권은 위와같이 弓弓(궁궁)이 서로 화합하여 마주 대하고 앉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정권은 背弓(배궁)으로 등을 맞댄 것을 의미하여 다툼을 상징했다면, 현정권은 向面對坐(향면대좌)로 서로 마주보고 앉는다고 한것이다. 그러니 弓乙歌(궁을가)가 얼마나 정확하게 밝히고 있는지 알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다음의 문장에서 밝히듯이 灣弓之間出於神工(만궁지간출어신공)으로 여기서 한자 물굽이 灣(만)을 사용했지만 사실상 이것은 물굽이 만이 아니라 굽을..

궁을론(弓乙論) 원문 및 해석

격암유록 제19장 궁을론(弓乙論) 원문 및 해석 격암유록 제19장 궁을론(弓乙論) 원문 및 해석 弓弓不和向面東西 背弓之間出於十勝 人覺從之所願成就 궁궁불화향면동서 배궁지간출어십승 인각종지소원성취 해석1) 증산도 궁궁(弓弓)이 서로 화합치 못하고 동서東西로 등을 마주한 사이에서 십승十勝이 나온다. 사람들이 이러한 이치를 깨우치고 따르면 소원성취하리라. * 궁궁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합이 될 수 있다. 서로 등을 대기도 하고, 마주하기도 하고, 하나가 이기고 하나가 지기도 하고, 하나가 서고 하나가 눕는 등의 방식의 배합도 이뤄질 수 있다. ‘궁궁’의 배합에서 ‘십승十勝’, ‘신공神工’, ‘십十’의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nbo..

궁을(弓乙)의 뜻은?

궁을(弓乙)의 뜻은? 비결에 궁을(弓乙)에 대한 글자가 많이 나온다. 궁(弓)은 활, 을(乙)은 새(鳥)이다. 두 글자의 관계는 참으로 비통하다. 활은 결국 새의 생명을 앗아가는 관계이다. (음이 소멸되는 이치이다.) 천지음양으로는 弓은 하늘, 乙은 땅이며, 弓은 양(陽)이고, 乙은 陰이다. 그래서 결에 “弓乙弓乙何弓乙 天弓地乙是弓乙 一陽一陰亦弓乙”이라 하였다. 弓弓乙乙은 하늘에도 음양이 있고 땅에는 음양이 있다는 것으로 보면 된다. 궁을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十勝弓乙理”라 하였으니, 궁을은 십승(十勝)의 이치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背弓之間出於十勝人覺, ”“一立一臥雙乙之間出於十勝” 궁궁을을(弓弓乙乙)은 천지음양이 일체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될 때 나오게 되는 것이 십승(十勝)이다...

지천태(地天泰)

지천태(地天泰) 작성자HERA|작성시간12.04.10|조회수9,165목록댓글 0글자크기 작게가글자크기 크게가 지천태(地天泰) ** 도원경, 특수함, 연애에는 길괘 ** 괘 상 : 하늘 밖에 터전이 있는 모습. 도원경을 의미한다. 암말과 숫말이 교미하는 상. 괘풀이 : 이 괘는 특수한 괘이다. 마치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도원경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길괘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길흉이 혼재된 괘이다. 자신의 이상과 행위에 따라서 그 결과가 크게 바뀌는 괘이다. 이유는 천지교태라는 우주가 비롯된 시점의 상이기 때문이다. 유덕한 자에게는 크게 길한 괘이나 사특하고 게으른 자에겐 흉괘가 된다. 학문을 하거나 예술을 하거나 종교적인 사람에게 대길하다. 운만 바라보고 노력을 안하는 자는 거지가 되는 상이다. ..

숨은 키워드‘궁궁을을’(弓弓乙乙)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21) 숨은 키워드‘궁궁을을’(弓弓乙乙) 1894년 4월27일, 전주성 함락을 눈앞에 두고 전봉준은 휘하 장수들을 모아놓고 특명을 내렸다. 궁을(弓乙)이란 부적을 불살라 동학농민군들에게 먹이라는 것이었다.“궁을부는 신통력이 있다. 비 오듯 쏟아지는 관군의 총탄과 화살도 무력하게 만드는 게 궁을부다. 그 효력은 이미 큰 스승 최제우 선생께서 밝히신 바다. 궁을은 이미 너희가 잘 아는 ‘정감록’에도 나와 있다.” 그 명령대로 동학군은 모두 궁을부를 태워 나눠마셨다. 그 다음날 동학군은 호남제일성인 전주성을 함락시켰다 궁을부란 “시천주조화정 영세불망만사지”(侍天主造化定 永世不忘萬事知) 13자를 쓴 종이 쪽지로, 본주(本呪)라 한다. 이 글귀의 뜻은 한울님을 모시면 조화가 이뤄진다, ..

사덕과 사단에 대해

사덕과 사단에 대해 어떤 사람이 맹자의 사단도 이황의 사단과 같이 본연지성이 표출된 것인지, 그리고 정약용의 사단과 사덕은 이이, 이황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질문하였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사단과 사덕에 대해 많이 알고 정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자는 세 가지를 질문하였습니다. 하나는 맹자의 사단은 사덕이 밖으로 드러난 것인지, 다른 하나는 이황과 이이의 사단과 사덕의 차이는, 마지막 하나는 정약용의 사단과 사덕입니다. 이에 대해 나는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먼저 첫 번째 질문인 맹자의 사단은 사덕이 밖으로 드러난 것인지 입니다. 나는 맹자의 사단도 이황의 사단과 같이 본연지성이 밖으로 드러난, 다시 말해 발동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예로서 맹자가 측은지심을 설명할 때 어린아이..

순자의 사상

순자가 천론에 이어서 교육론(敎育論)을 전개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논리적 수순입니다. 명(命)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교(敎)를 배치하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함께 읽으려고 하는 성악설(性惡說)의 위치가 바로 이곳입니다. 천명(天命)을 전제하고 성선(性善)을 전제하는 맹자의 체계에서는 그 선한 본성으로 돌아가고(復), 그 선한 가능성(善端)을 확충함으로써 충분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선성(善性)과 선단(善端)을 하늘로부터 이끌어 낼 수 없는 순자로서는 당연히 능참(能參)이라는 적극적 참여가 요구되며, 교육이라는 외적 기능이 요구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논리 속에 순자의 소위 성악설(性惡說)이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에토스[ ēthos ]

에토스 [ ēthos ]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혼을 지성적 부분과 비지성적 부분으로 나누고, 비지성적 부분 중에서 습관에 의해 지성적 부분으로 되는 감정적 능력을 에토스라 불렀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인간의 윤리적 성상(性狀)을 에토스라 부른다. 오늘날에는 베버(M. Weber)가 강조한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즉 에토스라는 것은 육화된 윤리로서, 인간을 내면으로부터 일정한 행동 양식으로 이끌어내는 실천적인 추진력인데, 어떤 시대의 에토스, 어떤 민족의 에토스로서, 인류의 역사에 대하여 구성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함유하고 있다. 이 견지에서 사적 유물론을 공격하지만, 이 경우의 에토스라는 것은 어떤 시대나 어떤 민족의 지배적 의식 형태(체계화되지 않은 사회실리도 포함하여)이고, 그 시대ㆍ민족의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