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주역이야기 49

[스크랩] 주역:보는 자로서 개체성을 이룬이란...

보는 자(인식주체)는 자신이 지닌 보여주어지는 능력(인식 범주,인식영역)을 가지고 그 자신에게 보여주어지는 능력(범주,자신의 인식영역)만큼 보여지는 것에 대한 모든 주변의 것들이 자신에게 보인 정도 만큼 만 모든 것을 模寫(모사)하게 되겠지요. 이러한 보는 자는 자신의 보는 (인식) 능력에 따..

주역:보는자의 정당한 판단근거 확보하기...

認識 主體(인식 주체) 즉, 보는 자로서 모든 주변의 것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 있는 데... 그것은 보는 자가 모든 주변의 것을 살피거나 파악을 하는데 보는 자의 판단이 정당하다는 판단근거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정당하다는 판단근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

주역 : 而가 내적으로는 善이고 외적으로는 義이니...

而(이) 가 내적으로는 善이 되고 외적으로는 義가 된다면 이를 실천하는 모양을, 즉 善과 義를 실천하는 사람을 四書 중 한권인 맹자에서 맹자는 "踐形(천형)"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踐形(천형)의 의미는 개인에게는 自己完成(자기완성) 혹은 個體完成(개체완성)으로 보여지며 다른 것들과의 전체..

주역 계사전의 上而形而下에서의 而는 무엇일까요...

주역 계사전상 12장의 "形而上者 謂之道也. 形而下者 謂之器也"에서 形은 上과 下를 아우르는 존재이자 形象이 있는 것 가운데 생각을 하고 인식의 주체가 되는 대상으로서 사람만을 形이라 하여 이 形은 인식의 주체이자 인식의 대상이 되지요. 이인식의 주체자로서 形은 보이지 않는 어떤 것 즉,上이..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문제해결을 위한 관점......

모든 문제는 문제 그자체에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이 깃들어져 있다. 다만 문제의 원인과 해결을 복잡하게 이끌어가게 되는 것은 문제에 접한 당사자가 자기 개인의 상황이나 문제에 과도한 집착을 하기 때문에 해결의 단초를 찾지 못하거나 해결책에 대한 의문을 제기 하기 때문이다. 문제의 해결을 ..

주역은 공부를 하는 것인가 자기의 모습의 투영인가...

주역은 크게 의리역과 상수역으로 나누지요. 의리역은 선과 의를 근본으로하여 이치를 밝히는 것이고 상수역은 자신을 청결히 하여 근본으로 부터 점괘를 얻는 것이지요. 이 두가지는 주역이라는 책을 대하는 기본자세를 밝힌 것이라 봅니다. 이 기본자세로 밝혀나가는 것이 자신은 누구인가... 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