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 달맞이 잘 하셨습니까?
정월 대보름 오곡밥 유래
제21대 비처왕(毘處王 ?~500 炤知王)이 즉위한 지 10년은 무진년(488)인데,
천천정(天泉亭)에 행차하였다. 그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우는데, 쥐가 사람의
말을 했다.
두 마리가 서로 싸우고 있었다. 멈춰 서서 이 모습을 구경하다가 갑자기 까
마귀가 간 곳을 놓치고 말았다. 길가에서 헤매고 있을 때 마침 노인이 나타났
다.
연못 속에서 나와 글을 바쳤다. 그 겉봉에 이렇게 쓰여 있었다.
왕이 그렇게 말하자 일관(日官)이 아뢰었다.
(焚修僧)과 궁주(宮主)가 몰래 정을 통하고 있는 것이었다. 두 사람은 참형을
당하였다.
일, 오(午, 까마귀)일에는 모든 일에 조심하여 함부로 행동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15일은 까마귀가 꺼린 날(烏忌日)로 삼고, 찰밥을 지어 제사 지냈는데,
지금까지도 행해진다.
신라말로 달도(怛忉)는 슬픈 마음으로 모든 일을 삼가고 꺼린다는 뜻이다.
노인이 나와 글을 바친 그 연못을 서출지(書出池)라 부른다.
출처 : 삼국유사(三國遺史)
이런 연유로 정월 대보름에는 궁중에서는 잣, 대추, 밤 등 귀한 음식을 넣어
약식을 지어먹었으나 서민들은 구하기가 어려워 오곡밥으로 대신해서 지어
먹었습니다.
이 풍속은 면면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을 지어먹습니
다. 예로 부터 정월 대보름에 만들어 먹는 별식을 ‘상원절식’이라고도 하는
데,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는 장수를 빌며 오곡밥이나 약식을 지어먹고,
아침에는 귀밝이술 ‘이명주(耳明酒)’을 마시며, 새벽에 부럼을 까서 이를
튼튼하게 하고 종기를 예방한다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월 대보름에는 아침에 "아무개" 하고 불러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 가시오." 하며 더위를 파는 풍속이 있는데 저도 늘 써 먹고 있습니다. ^^
달맞이행사를 통해 저마다 소원을 빌기도 하고,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등도
하고 지내기도 합니다. 이 날은 그동안 날리던 연도 날려 버리는 풍속도 있
있습니다. 모든 액운을 날려 버리는 것이지요.
'사는 이야기 > 남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끼인 세대" 노후공포가 온다... 저축 월 17만원 (0) | 2011.03.08 |
---|---|
남한산성에서 (0) | 2011.03.01 |
초유의 면역성분(colostrum):면연력 강화식품. (0) | 2011.02.18 |
집.전세값에 기죽어 "서울 엑소더스".... (0) | 2011.02.17 |
내 손바닥에 상처가 없으면 (0) | 201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