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함께하는 이야기

평균 정년 53.9세 조기퇴직<91만명 화이트칼라 大亂 밀려온다>

후암동남산 2012. 12. 26. 15:47

91만명 화이트칼라 大亂 밀려온다

평균 정년 53.9세 조기퇴직…민간소비 위축과 막대한 재정지출 우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45~59세 중장년 화이트칼라 비중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이들의 대량 조기 퇴직으로 우리 경제에 충격이 올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속고용이 가능한 블루칼라와 달리 화이트칼라는 그 나이대에 걸맞은 직책과 적합업무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자녀교육과 결혼, 주택대출 상환 등 소비지출이 최대에 다다르는 시점에서 조기퇴직으로 가계소득이 끊기면 사회·경제적 불안이 클 뿐만 아니라, 실업급여 등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이를 막을 방법을 사전에 고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6일 '중장년 화이트칼라 지속고용의 과제' 보고서에서 45세에서 59세에 해당하는 중장년층이 91만명으로 2000년(38만명)보다 세 배 가까이 늘었다고 지적했다. 반면 연구소가 자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화이트칼라의 체감 정년은 53.9세로 기업이 정한 평균 정년 57.7세보다 3.8년 짧았다. 이는 생산직과 같은 비(非)화이트칼라 직종의 체감 정년(55.7세)과 비교해도 2년가량 모자란다.

화이트칼라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임금과 직책이 올라가 회사 측에서 이들의 정년보장을 부담스러워하기 때문이다. 중장년 화이트칼라의 평균 월급은 453만6000원으로 젊은 층의 1.5배 수준에 달한다. 기업 성장이 둔화되고 수평적인 조직구조가 확산되면서 중장년층을 배치할만한 관리자 직책도 2009년 15만2000개에서 2011년 14만개로 줄었다.

나이가 들수록 쌓이는 연식도 화이트칼라는 인정받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오히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이 떨어지고 신기술 습득 지체, 융통성 부족 등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고령자 고용을 꺼리게 된다. 자연스럽게 임원직 이외의 중장년 화이트칼라는 노동시장에서 방출될 수밖에 없다.

중장년 화이트칼라 대다수가 퇴직 이후 전직 등을 위한 준비가 부족한 상황인 만큼, 이들의 대량 조기퇴직은 그대로 우리 경제의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연구소 조사결과, 55.9%의 응답자가 "퇴직 이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즉, 이는 우리 사회의 주요 소비층인 중장년층 퇴직은 민간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실업급여로 막대한 재정지출이 불가피하다. 연구소는 이들 세대가 53.9세에 조기 퇴직 후 실업급여를 신청한다고 가정할 때 약 4608억원의 실업급여 예산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계산했다.

이런 충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장년 화이트칼라가 지속적으로 고용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각 직종 특성을 반영해 직종별 정년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화이트칼라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