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오늘의 명언록

맹자의 군자삼락,공자의 인생삼락

후암동남산 2013. 1. 26. 23:23

○ 군자삼락(君子三樂)

君:임금 군, 子:아들 자, 三:석 삼, 樂:즐길 락, 좋아할 요
[원말]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유사어] 익자삼요(益者三樂)
[반의어] 손자삼요(損者三樂) [출전] : 《孟子》〈盡心扁〉
[뜻] 군자에게는 세가지 즐거움이 있다는 말.

전국 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B.C.372~289)는 <<맹자(孟子)>> 진심편(盡心扁)〉에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
첫째 즐거움은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요.
[부모구존 형제무고 (父母俱存 兄弟無故)].

둘째 즐거움은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구부려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요.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仰不傀於天 俯不作於人)]

셋째 즐거움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이다.
[득천하영재 이교육지(得天下英才 而敎育之)]



한편 공자는 《논어(論語)》〈계시편(季詩扁)〉에서 '손해 되는 세 가지 좋아함[손자삼요(損者三樂)]을 다음과 같이 꼽았다.

교락(驕樂:방자함을 즐김).
일락(逸樂:놀기를 즐김).
연락(宴樂:주색을 즐김).

"공자의 인생삼락"

* 學而第一(학이제일)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人不知而不溫이면 不亦君子乎아."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

"배우고 때에 맞추어(timely) 익히니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

뜻을 같이 하는 친한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니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화를내지 않으니 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