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ISSUE] 2014 대입 중간점검
6월 모의평가의 가장 큰 의미는 본인의 상대적인 실력을 가늠해보는 것이다. 물론 일부 재수생·반수생이 참여하지 않았고, 9월 모평이 남아있지만 수시 이전에 활용할 수 있는 가장 공신력 있는 잣대임에는 분명하다. 수험생들은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토대로 6장의 수시 카드를 어떻게 활용할지 결정해야 한다.
수시카드 결정에서 고려할 잣대는 모두 세 가지. 자신의 객관적 실력과 대학 학과의 로드맵, 그리고 지망학과 진학을 가능하게 할 주력전형이다. 6월 모평으로 자신의 객관적인 위상이 가늠됐다면 대학을 결정하고 주력할 전형을 결정하는 순서를 따르는 게 일반적이다. 수험생들의 가장 일반적 오류는 세 가지 모두를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해 결정을 미루면서 변수를 늘리는 것. 실력은 전체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낙관하는 한편 대학과 학과나 주력 전형조차 합격가능성에다 초점을 맞춰 자신과 무관한 전공의 좀더 높은 대학을 지원하는 식이다. 수험생의 아전인수격 대응은 막판 집중이 필요한 시기에 자멸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 EBS 안연근 교사는 수시전략설명회를 통해 “담임선생님과 함께 자신의 유·불리를 점검하여 수시 전형을 선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학사정관의 경우 종합형은 서류의 비중이 내신형보다 크고, 창의형에서 특기자전형은 교과외 수상실적을 반영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사진은 수시전형별로 주요하게 반영하는 요소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
[베리타스알파 = 한장희 기자] 올해 수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능 전 전형을 실시하는 A유형, 수능 후 전형을 실시하는 B유형, 원서를 수능 후 접수하는 C유형이다. 대성마이맥이 논술전형을 중심으로 대학별 수시 전형을 분석한 결과, A유형은 연세대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가톨릭대 성신여대 인하대(1차) 한국항공대 등이었고, B유형은 서울대(구술)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인하대(2차) 숭실대 경기대 단국대(죽전) 등이었다. 서울여대는 수능 이후에 수시원서를 접수한다.
A, B, C유형을 수능최저의 유무로 다시 세분화할 수 있다. A유형은 수능최저가 없을 경우 수능 이전에 대학별고사를 모두 치르고 10월 중 합격이 결정된다. 수능최저가 있을 경우 9~10월경에 대학별고사를 치러 조건부 합격을 통보 받은 뒤, 수능최저를 만족하면 합격한다. B유형은 9월 원서접수 기간에 원서를 접수하고, 수능을 치른 뒤 대학별고사를 치르는 방식까지는 같다. 다만 전형에 따라 수능최저가 없는 전형은 대학별고사만으로 합/불이 결정 난다. 수능최저가 있을 경우 수능최저에 따라 최종합격이 결정된다. C유형은 중하위권 학생들이 보험용으로 한 장의 카드를 남겼다 사용할 수 있는 기회다. 수능 이후인 11월 원서를 접수해 대학별고사를 치른다. 수능최저 여부에 따라 바로 합격이 결정 나기도 하고, 수능최저에 적용시킨 뒤 합/불이 결정되기도 한다.
최종합격은 12월 중에 발표가 나고 이어 등록기간이 진행된다. 미등록인원 충원은 학교별/전형별로 상이하다. 수시전형에 지원한 인원으로 결원을 보충하는 학교가 대부분이고, 정시로 바로 이월하는 경우도 있다. 수시에서 결원 보충을 해도 미달이 날 경우, 정시로 정원이 이월된다.
2014학년 수시모집 정원은 전체의 66.2%에 해당하는 25만1220명으로 지난해보다 7997명 증가했다. 수시가 확대되었다고 해서 수시에만 올인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 이유는 정시 이월인원 때문이다. 수시에서 등록하지 않아 정시로 정원을 넘기는 이월인원이 상당하다.
지난해부터 실시된 ‘수시6회제한’으로 인해 이월인원의 전체적인 규모는 축소되었지만 경우에 따라 이월인원이 증가하는 대학도 있었다. 인문계열은 서울대를 제외한 모든 주요 15개 대학에서 최소 14명, 최대 235명의 이월인원이 발생했다. 서강대 성균관대 홍익대는 이월인원이 증가하기도 했다. 자연계열의 경우는 의대 치대 한의대로 빠져나가는 인원이 많기 때문에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의 규모가 훨씬 크다. 서울대도 53명의 이월인원이 발생했고, 성균관대(253명) 한양대(242) 연세대(220) 등이 정시로 정원을 이월해야 했다. 한국외대를 제외한 14개교 중 7개교(연세 서강 성균관 한양 중앙 시립 홍익)가 전년도보다 이월인원이 증가했다.
수시 준비의 정석
9월부터 수시전형 접수가 시작되지만 작성해야 할 서류들은 미리 작성해두는 것이 좋다. 특히 입학사정관전형이나 특기자전형은 서류가 합/불을 정하는 결정적 요소이기 때문에 많은 공을 들여야 한다. 작성해야 할 서류목록으로는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우수성입증자료 등이다. 입학사정관전형은 외부실적을 기재할 수 없기 때문에 학생부를 중심으로 본인의 학업능력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진학사 김희동 입시분석실장은 “스펙은 새로운 것을 만들기보다는 지금까지 해 온 활동들을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서류의 증빙자료로 제출할 포트폴리오에 과도하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생부에 나타난 자료 위주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했다면 굳이 증빙자료가 없더라도 합격할 수 있다”며 증빙서류 제출은 자기소개서를 보충할 자료 정도로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서울대 입학사정관전형의 경우 모의고사성적 어학인증점수 등 교과 외 영역의 자료가 평가대상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도 참고해야 하겠다.
지망하는 대학과 학과를 선정함에 있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일이다. 학생부 교과(내신)와 비교과, 수능, 논술, 구술/면접 가운데 본인에게 우위가 있는 요소를 선택해야 한다. 지원하는 학과가 요구하는 정도의 능력과 본인의 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수치화해 보는 것도 좋은 시도다. 수능에서 선택할 유형을 결정하는 것도 신속하게 결정하는 것이 이후의 학습과 수시전략 수립이 수월해진다. 상위권의 경우 공식화되어 있어 문제될 것이 없지만, 중위권은 지원 대학과 전형 선정 등에 있어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지원자의 장단점을 파악해 자신에게 알맞을 전형을 탐색해보자.
▲ 논술전형
서울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이 실시하는 전형이다. 선발규모도 가장 많다. 서울시내 15개 주요 대학 가운데 14개 대학에서 실시하며 1만1067명(34.55%)을 선발한다. 서강대가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삼수생 이상의 졸업생에게까지 문호를 개방한다. 보통 우선선발과 일반선발로 나눠 선발한다.
주요 전형요소는 논술, 수능, 학생부교과. 우선선발은 논술보다 수능의 영향력이 더 큰 편이다. 우선선발 수능최저가 높기 때문에 만족하는 학생 수가 많지 않아 경쟁률이 높지 않은 편이다. 수능에 자신 있는 지원자는 논술전형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선발은 비교적 수능최저가 낮은 편이다. 수능실력이 중상정도 된다면 논술과 내신으로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논술 실력면에서 재수생의 변수는 부담이다. 재학생보다 두 배 가까운 시간을 논술에 투자했기 때문이다. 재학생들은 이르면 고2 여름, 보통 고3에 접어들며 논술시험을 준비한다. 재학시절과 재수의 경험을 더한 재수생이 우위를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거기에 전공관련 수업도 한 학기 이상 경험해 본 반수생이라면 나름의 전공적성을 키워 위력을 더하는 경우가 많아 재학생들은 평소에 글쓰기와 깊이 있는 독서를 통해 철저한 준비를 요한다.
연세대(833명)와 건국대(570) 동국대(522) 홍익대(454) 등은 수능 이전에 논술고사 일정을 잡았다. 고려대(1366) 서강대(540) 성균관대(1315) 한양대(840) 중앙대(1280) 경희대(1250) 한국외대(516) 서울시립대(411) 숙명여대(500) 등은 수능 이후에 논술고사를 치른다. 지난해까지 수능 이전에 논술고사를 실시한 이화여대(670)는 올해부터 수능 이후로 논술고사 일정을 변경했다.
일부 중상위권 대학에서는 수능최저 없이 논술로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 동국대는 한의예과를 제외하고 우선선발에서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는다. 가톨릭대 국민대 광운대 아주대 등도 우선선발 대상자에 한해 논술100%로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 숙명여대는 일반선발에 한해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고, 논술50 내신50으로 선발한다. 덕성여대는 논술70 내신30, 인하대는 논술50 내신50, 한국항공대는 논술60 내신40으로 수능최저 없이 들어갈 수 있다.
6개의 원서를 제출하는 수시모집의 특성상 정시모집 직전까지 추가모집을 실시한다. 학교별로 추가모집의 형태는 다르다.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는 수능성적이 우수한 우선선발대상자에게 먼저 추가합격을 부여하고 이어 일반선발대상자를 선발한다. 연세대와 이화여대는 우선선발대상자와 일반선발대상자를 분리해 추가선발한다. 그 외 학교들은 일반선발에서 동일하게 추가합격한다.
▲ 내신 중심 전형
내신 중심 전형은 내신으로만 선발하거나, 내신의 비중을 높여 선발하는 전형이다. 서울지역에서는 주로 차상위권 대학이 운영하고 있으며 15개 대학에서의 선발규모는 1902명이다.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가 빠져나가고, 상위권 입학사정관전형이 학생부 중심으로 정리가 되면서 내신형 수시는 점차 중하위권으로 무게추가 옮겨지고 있다. 선발대학의 특성상 최상위권의 내신은 아니더라도 높은 내신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에게 유리하다. 다만, 내신형 수시를 운영하는 서울권 대학에서는 비교적 높은 수능최저를 설정해 놓았다는 특징이 있다.
서울 주요대학 가운데 현재 내신형 수시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이화여대 학업능력우수자(320명), 건국대 수능우선학생부(434), 동국대 교과성적우수자(199), 홍익대 수시2차 일반전형(829), 숙명여대 학업우수자(120) 전형 등이다. 이화여대가 교과90 비교과10 반영하고 나머지 대학은 모두 내신으로만 선발한다.
▲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사정관전형은 총 9914명을 선발하며 상위권 대입의 주류로 자리잡았다. 정부가 올해 역대 최대규모인 395억원의 예산을 책정하면서 든든한 뒷배가 되어주고 있다. 예산 집행과정을 심사해 지원금을 회수하는 등 내실 있는 전형 운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을 통해 ‘경시대회와 어학인증 제출 금지’를 모집요강에 명시하도록 했다. 도입 초기 스펙 위주의 특기자전형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에서 점차 거리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입학사정관전형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서울대 일반전형으로 대표되는 종합형이 가장 규모가 크다. 학생부 서류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의 학업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서울대 지역균형과 같이 내신 위주로 학생의 인성 등을 평가하는 내신형과 지원자만의 독특한 학업능력을 구현할 수 있는 창의형이 있다. 연세대 창의인재, IT명품인재 등 특정 분야의 특수성을 강조한다.내신형 입학사정관전형은 높은 내신을 보유한 학생이라면 지원해볼 만하다. 내신의 반영비율이 높지만 내신 자체를 수치화해서 평가하지는 않는다. 서류와 면접을 통해 일종의 검증작업을 거친다. 수능최저는 학교별로 상이하지만 논술전형과 비교할 때 높지는 않다. 주로 2~3개 영역에서 2등급정도에 해당하는 등급이나 백분위를 요구한다.
대표적인 내신형 입학사정관전형은 서울대의 지역균형(764명)이다.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전환하고 서류 면접 등의 전형요소를 추가했으나, 면접의 내용이 주로 인성면접 등에 국한되기 때문에 내신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 서강대 학교생활우수자(131), 한양대 학업우수자(322), 중앙대 학교생활우수자(285), 이화여대 지역우수인재(270), 경희대 학교생활충실자(400), 동국대 Dharma(108)·학교생활우수인재(199), 숙명여대 리더십인재(230) 전형 등이 대표적인 내신형 입학사정관전형이다. 연세대는 지난해까지 학교생활우수자 전형에서 학생부 100%로 3배수를 선발했으나 올해부터 폐지했다.종합형 입학사정관전형은 입학사정관전형의 도입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전형으로 통한다. 서울 15개 대학에서 모두 운영중이다. 수능 서류(학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구술/면접 등을 전형요소로 활용한다. 수능 내신 등이 높긴 하지만 최상위권이 아닐 경우 서류·면접 등을 통해 학업능력을 증명해 반전을 꾀할 수 있다.
서울대의 수시 일반전형이 가장 대표적이다. 서울대는 인문/자연계열에서 수능최저까지 전면 폐지하면서 정량적 요소를 배제하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했다. 아주 높지는 않더라도 상승세인 학생부, 학교생활을 통해 공동체에 보탬이 된 인성, 자발적으로 탐구하고 학습하는 지적 호기심 등을 높게 평가한다. 나머지 대학들은 같은 선발방식으로 평가하되 적당한 수준의 수능최저를 내걸었다.
교외수상실적 모의고사성적 공인인증시험점수 등을 제출할 수 없기 때문에 재학생에게 좀더 유리한 전형이다. 연세대 학교생활우수자, 경희대 고교교육과정연계 전형은 재학생만 지원할 수 있다. 고려대 학교장추천, 서울시립대 입학사정관, 건국대 KU자기추천 전형은 재수생까지 지원할 수 있다. 나머지 학교는 삼수생 이상의 졸업생들까지 지원을 허용했다.
창의형 입학사정관전형은 특기자전형의 요소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전형. 선발규모는 매우 작은 편이다. 서류 가운데 창의성,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의 반영비율이 가장 높다. 예컨대 연구보고서, 개인 홈페이지, 발표 논문, 소프트웨어 샘플, 개인 창작물, 창의적 활동 경력 등이 창의성을 입증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수능최저는 없고, 합격생들의 내신이 특별하게 뛰어나지 않아도 크게 지장은 없다. 어려서부터 유별나게 한 분야에 골몰해 온 학생에게 적합한 전형으로 볼 수 있다. 연세대 창의인재와 IT명품인재, 서강대 자기추천 전형이 대표적이다. 특정분야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며 깊이를 확보한 학생을 선발한다. 연세대는 입학설명회를 통해 ‘한 분야에 대해 마니아’인 학생을 선발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 특기자전형
특기자전형은 대부분 수능최저가 없다는 점에서 입학사정관전형의 창의형과 유사하다. 그러나 올림피아드 등 외부수상실적과 공인어학인증시험 점수를 전형에 참고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차이다. 이러한 이유로 올림피아드 등 교외수상경력이 화려한 과학고와 영재학교 출신 학생들이 몰리기 때문이다. 외국어에 강해 텝스나 토플 고득점을 확보한 외고나 전국단위 자사고 학생들은 어학특기자전형에서 특별한 경쟁력을 갖는다.
전반적으로 서류에서 외부수상실적, 공인어학인증시험 점수가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더해 수학·과학 특기자전형은 심층면접 등 대학별고사가 중요하고, 어학특기자전형은 면접과 에세이의 영향력이 크다. 상위권 대학일수록 학생들의 수상실적이나 공인어학인증시험 점수가 엇비슷해 서류의 전반적인 완성도를 중요하게 평가할 수 있다.
서울대가 수시전형을 전면 입학사정관전형으로 확대하면서 연/고대는 특기자전형의 확대로 맞불을 놨다. 연세대는 올해 수시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특기자전형으로 선발한다. 인문/자연계열 각 285명, 국제계열 313명으로 예체능계열을 포함하면 총 954명의 규모다. 고려대는 국제인재와 과학인재전형뿐 아니라 OKU미래인재전형도 확대해 715명을 선발한다. 다만 서울대 일반전형 자연계열의 수능최저가 없어진 것이 2014학년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은 주지하다시피 과고/영재학교 인원을 선발하기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
서울대를 제외하면 서울시립대와 홍익대가 특기자전형이 없다. 서강대(150명) 성균관대(일반534+예체능55) 한양대(454+104) 중앙대(440+354) 경희대(210+246) 등은 인문/자연계열 모두 특기자전형을 운영한다. 이화여대(175+146) 한국외대(263) 건국대(198+29) 동국대(233+73) 숙명여대(130+62) 등은 어학형 특기자전형만을 운영하고 있다.
▲ 수능형
최근에는 수시에서 수능으로 학생을 선발해가는 전형도 생겨났다. 상위권 대학 가운데 학생부 내신을 보지 않고 높은 수능최저를 설정해 사실상 수능으로 수시모집을 진행하는 학교들이 더러 있는 것. 전형요소로는 학생부비교과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을 평가한다. 학생부 내신이 없기 때문에 정량적 평가요소는 수능이 유일하다. 서강대는 일반서류, 한양대는 브레인한양, 중앙대는 수학능력우수자 전형을 통해 수능형 수시를 앞장서서 이끌고 있다. 서강대가 제시한 수능최저는 국수영 백분위 284(인문사회), 286(경제/경영)이고, 자연계열은 수학B, 과탐 백분위합 185이다.
▲ 적성평가형
적성고사전형은 중위권 학생들의 인서울을 위한 최후의 보루다. 올해 9개 대학이 적성검사를 신설하며 29개교에서 사상최대규모인 1만6192명을 선발하기 때문이다. 경기대 동덕여대 명지대(인문) 세종대 한성대 서경대 등이 서울소재 대학이고, 가천대 가톨릭대 한양대(에리카) 한국외대(글로벌) 등 경기권 대학이 많다. EBS 안연근 선생은 설명회를 통해 “6월 모평이 끝난 현재, 4등급 이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면 하루 빨리 적성고사를 준비하는 것이 낫다”고 수험생들에게 조언했다. 유형은 학교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미리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를 정해 기출문제로 공부하는 것이 좋겠다. 학교별 수능최저나 지난해 경쟁률을 참고해야 함은 물론이다.
'사는 이야기 > 대학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학년도 수능 만점자 비율 (0) | 2013.07.19 |
---|---|
수시접수 석달전 학부모가 알아야 할 입시 Q&A (0) | 2013.07.12 |
6월 모의평가 성적으로, 성적대별 지원전략은? (0) | 2013.07.12 |
2014 경찰대 4년 연속 60대 1 넘어...여학생 역대 최고 경쟁률 (0) | 2013.07.12 |
'선택형 수능' 2017학년도부터 폐지될듯 (0) | 201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