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과학사전

영양염류

후암동남산 2013. 11. 20. 20:57

간단히 영양염이라고도 한다. 식물플랑크톤이나 바닷말[海藻]의 몸체를 구성하며, 그 증식의 요인이 된다. 바닷물 속의 영양염류량은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량을 좌우하는데, 이것은 식물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생산량을 좌우하며, 다시 이것을 먹이로 하는 어류의 생산량을 규제하므로, 바다에서 영양염류는 육상의 논 ·밭의 비료와 같은 역할을 한다.
영양염류는 일반적으로 한해(寒海) 쪽이 난해(暖海)보다 많고, 또 연안부 쪽이 많다. 이것은 한해의 표층수(表層水)가, 영양염류가 많은 극지방의 심층수(深層水)에 기인하며, 난해의 물은 영양염류가 빈약한 적도역(赤道域)의 표층수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해에서는 동계에 상하의 대류가 일어나서 연직혼합(鉛直混合)이 왕성해져 하층으로부터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의 보급이 있는 데 반하여, 난해에서는 성층(成層)이 안정하여 연직혼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연안부에 풍부한 것은 하천의 유입이나 강우에 의한 출수(出水) 등에 의하여 영양이 풍부한 물이 보급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바닷물 속의 영양염류 분포는 해역 ·계절 ·깊이 등에 따라서 다르고, 해황(海況)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변동한다. 영양염류의 측정은 수산(水産)의 견지에서도 중요하며, 해양관측 때 바닷물의 분석(分析)으로 대부분 영양염류 측정을 한다.

'사는 이야기 > 과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설 ppt를 동영상으로  (0) 2013.12.02
[스크랩] 별자리 수업 자료요 ^^  (0) 2013.12.02
지구내부의 구조  (0) 2013.11.10
[스크랩] 산소의중요성  (0) 2013.11.10
열량과 열용량  (0) 201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