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전기관련내용 31

전기 기초지식 문제^^

문제14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3개를병렬로 접속했을 때의 합성 정전용량은 직렬로 연결하였을 때의 합성정전용량의 몇 배인가? 따라서 9배 문제16 100uf의 콘덴서에 1000v의 전압을 가하여 충전한 뒤 저항을 통하여 방전시키면 저항에 발생하는 열량은 몇 cal인가? 문제18 비유전율이 가장 큰 물질은? 가장 작은 것은 공기(진공)입니다. 큰 것은 운모입니다.^^ 문제 20 유전률의 단위는? F/m 문제22 정전용량 100uF의 콘덴서에 200V를 공급할때 충전되는 전기량은? 문제24 평형판 콘덴서의 OO면적을 3배로 하고 극판 간격을 처음의 절반으로 줄였을 때 정전용량은 처음의 몇배 인가 문제 26 저항 10옴의 전열기에 20A의 전류가 흐를 때 생성되는 전력[kW]과 또 이때 1시간당 발생되는 열량..

유전체의 비유전율이 나타나는 이유는

유전체의 비유전율이 나타나는 이유는 유전체에 전계를 가할 경우, 분극(polarization)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아시는바와 같이 분극이란 전계를 가한 표면에 반대극성의 전하가 유기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전극과 맞닿은 면엔 - 전하가, - 전극과 맞닿은 면엔 + 전하가 유도 됩니다 결국 이러한 분극현상으로 인해 비유전율이 발생합니다. 분극의 차이가 비유전율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참고로 보통 비유전율이 큰 유전체는 전기 쌍극자 모멘트(electric dipole moment)가 큰 것들입니다

두 전하사이의 기전련력은?

1. 양전하가 8[μC] 과 음전하가 4 [μC]의 두 전하를 공기중에서 0.2[m]거리에 놓았을 때,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기전력은 얼마이며, 어떤 힘이 작용하는가? (단, 공기중의 비유전율은 ≒ 1이다.) 2. 음(-)의 점전하 100[nC]이 공기중의 한점에 놓여 있다. 이 점으로부터 3[m] 떨어진 곳에서 측정한 전기장의 세기를 구하면? 3. 진공속에서 2 x10-4[Wb]의 N극과 5 X 10-4[Wb]의 S극이 1[m]떨어져 있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얼마인가 ? (단, 자속은 점자하이다.) 4. 자극의 크기 m=40[Wb]의 점자극으로부터 r=2[m] 떨어진 점의 세기를 구하면 ? 1. 양전하가 8[μC] 과 음전하가 4 [μC]의 두 전하를 공기중에서 0.2[m]거리에 놓았을 ..

열전기 현상

열전기 현상은 1821년 독일의 물리학자 토마스 요한 제베크(Thomas Johann Seebeck)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된 것으로 현재는 제베크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를 총칭하는 것입니다. 열전 효과(熱電效果, thermoelectric effect), 열전 현상이라고도 합니다. ■ 제베크 효과(Seeback) 이종 금속을 고리 모양으로 연결하고 접합점을 다른 온도로 유지하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온도차에 의한 전위차를 열기전력이라 합니다. 온도 센서들은 이 원리를 이용합니다. 온도 1℃당의 기전력을 열전능 또는 제베크계수라 합니다. ■ 펠티에 효과(Peltier) 이종 금속의 접합점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 접합점에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제베크 효과의 ..

열량은 몇[cal]인가?

전력량(W)=전력(P) * 시간(t)[kWh] 열량(H)=1Wh*860cal=0.86[kcal] 50[옴]의 저항에 2[A]의 전류를 1분간 흘릴 때 발생하는 열량은 몇[cal]인가? ​[공식] H=0.24I2Rt [풀이] H=0.24I2Rt=0.24×22×50×1×60=2880[cal]=2.88[kcal] [참조] ■ 줄의 법칙 전열기의 발열선은 큰 저항값을 갖는데 여기에 전압을 가하여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전류의 발열작용이라한다. 저항이 R[Ω]인 도체에 I[A]의 전류가 t[s]동안 흐를 때 그 도체에 발생하는 열 에너지 H는 [J] 영국의 물리학자인 줄은 1840년 소비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모두 열로 바뀌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전류에 의하여 단위 시간에 발생하는 열량은 도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