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탐구는 기본적으로 교과 개념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에 교과 개념과 원리를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교과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개념을 활용한 문항이 출제되기도 하므로, 교과서를 꼼꼼히 살피고 미처 파악하지 못한 개념이 있으면 별도로 정리해 두어야 한다. 또한 여러 개념과 원리를 복합적으로 연계시킨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으므로 주제별로 관련 개념들을 비교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학습 전략 2.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자.
사회탐구는 도표, 그래프, 지도, 사진, 사료 등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고 분석․종합하는 문항이 주로 출제된다. 기출 문제에서 이미 출제된 자료를 변형․복합하기도 하나 새로운 자료를 활용한 문항이 많이 출제되므로 다양한 자료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일단 교과서에 언급된 자료들의 의미와 내용을 꼼꼼히 살필 필요가 있다. 특히 교과서 개편으로 교과서에 새로운 자료들이 많이 들어왔기 때문에 2014 수능에서는 이를 활용한 문항이 많이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학습 전략 3. 문제 풀이 능력을 향상시켜라.
사회탐구는 지식적인 문항보다는 복합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항이 출제된다. 교과 내용을 완전히 숙지했다고 하더라도 수능의 문제 유형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정답을 유추하는 과정에서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 이에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는 것을 통해 수능의 유형을 익히고 문제 풀이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문제를 풀 때 선입견을 버리고 제시된 자료를 주의 깊게 읽고 발문을 꼼꼼히 살펴 출제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유사한 주제를 다룬 문항의 답지는 비슷한 내용을 표현만 달리하여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깊게 살펴두면 유익하다.
학습 전략 4.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내용을 교과 내용과 연계하여 살펴보라.
윤리나 일반사회 교과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내용을 교과 내용과 연계하여 문항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즉 윤리 교과는 각 상황에 대한 사상가의 입장이나 조언을 유추하는 문항이 많이 출제되며, 일반사회 교과는 현대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사회 현상을 자료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역사나 지리 교과도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와 관련된 교과 내용을 다룬 문항이 출제되기도 한다. 이에 평소에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거나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일들은 교과 내용과 연계하여 생각해 보는 게 필요하다.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 이만기 평가이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