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학과에 대한 대비 충실해야
[베리타스알파 = 조익수 기자] 수시 입학사정관제 전형 일정이
얼마 남지 않았다. 입학사정관전형은 내신성적과 수능점수로 평가할 수 없었던 잠재능력과 소질, 가능성 등을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이다. 단기간의
준비로 지원하고자 한다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소질과 활동내용이 대학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 특성에 맞는지 확인한 후에 지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반대로 저학년부터 지금까지 착실히 준비한 수험생이라면 이제는 활동실적 및 제출서류 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미리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 수시 입학사정관제 전형 일정이 얼마 남지 않았다. 입학사정관전형은 잠재능력과 소질, 가능성 등을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전형. 활동실적 및 제출서류 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미리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사진 = 베리타스알파 DB |
제출 서류, 지원학과와 연관성
찾아라
대부분의 대학에서 서류평가를 할 때 빠지지 않고 확인하는 부분이 학생부 기재 사항이다. 입학사정관전형을
지원하는 수험생 대부분은 학생부를 기본으로 평가 받기 때문에 학생부의 비교과 활동 내용 중 누락된 부분은 없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한다.
교내 활동보고서를 작성할 때는 지원하고자 하는 모집단위와 연관성 있는 분야의 활동보고서가 좋다. 입학사정관은 수험생이 교내
활동에서 왜 이 분야의 활동에 비중을 두었는지를 궁금해하므로 해당 활동에 대한 기록을 잘 정리하여 제출하거나, 면접 시 체계적인 활동이었음을 잘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자기소개서, 하나의 스토리로 완성해야
입학사정관은 학생의 다양한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평가의 기초 자료가 자기소개서다. 자소서 안에는 학교생활에 얼마나 충실했으며 목표로 삼은 전공을 위해 어떤
학업의지를 갖고 본인을 발전시켜 나아갔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야 한다.
자소서는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성장배경이나
지원동기, 활동실적이나 노력 등이 하나의 스토리로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사정관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활동에 근거한
사례 위주로 작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자신의 활동을 돋보이게 하려고 두루뭉수리로 표현하기보다는 질문에 적합한 활동과 노력을 명시하고 그 내용을
구체화하며 서술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자소서 작성 시 반드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표절/대필이다. 첨삭, 대필 등의 방법을 통해
다른 사람이 자소서를 작성하게 하면 안 된다. 서류 검토 시 수험생이 아닌 다른 사람이 쓴 문장이나 어휘 등은 오히려 지원자의 자격요건을
의심하게 되어 불합격 요건이 되므로 자소서 내용에는 거짓이나 자기를 합리화시키는 내용의 글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면접, 전공 지식 준비도 필요해
남은 기간 전공에 대한 전문지식도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 아는 만큼 정확하게 전공에 대한 열의를 표현하는 것도 좋지만, 암기를 통해 습득했다는 오해를 받지 않도록 평소 답변 식의 연습을
통해 자신감 있게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단시간에 많은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욕심보다는 평소 활동했던 내용을 기초로 본인이 좀
더 관심을 두었던 분야에 대해 정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신이 쓴 자소서와 학생부의 활동 내용도 완전히 숙지해 사정관의 돌발
질문에도 머뭇거림 없이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가능하면 전년도 기출문제를 파악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예상되는 면접
질문을 미리 뽑아 답변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원 동기의 경우 입학사정관이 매년 묻는 질문이므로 지원학과에 대한 이해와 어떤 소신을
가지고 지원했는지 자신만의 독특한 지원동기를 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아무리 화려한 실적이
많더라도 본인만의 독특한 능력을 자기소개서에 매력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면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며 “핵심 내용을 앞부분에 작성해 입학사정관이
관심을 갖도록 하고 문장은 평가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두괄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사는 이야기 > 대학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경찰대 4년 연속 60대 1 넘어...여학생 역대 최고 경쟁률 (0) | 2013.07.12 |
---|---|
'선택형 수능' 2017학년도부터 폐지될듯 (0) | 2013.07.12 |
대입전형이 3,000개 (0) | 2013.06.14 |
성적을 올리는 학생의 7가지 특징 [시험잘보는법] (0) | 2013.04.23 |
경찰대·사관학교의 꿈… 20130422두 달 뒤 전형 시작 (0) | 201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