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베버의 공업 입지론

후암동남산 2018. 9. 5. 13:29

베버의 공업 입지론

교과단원경제지리, Ⅲ. 공업과 무역, Ⅲ-2 공업 입지 이론

1. 교과서 속 주개념

베버의 공업 입지론

20세기 초반, 독일의 학자 베버는 공업입지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인 이론을 모색하였다. 베버는 최소비용 지점을 최적 입지라고 보고, 공업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서 운송비와 노동비, 집적의 이익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베버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였다. 원료 산지의 위치가 알려져 있고, 특정 원료는 특정 지역에서만 공급되며, 소비 시장의 위치는 공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노동력은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임금 수준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또한, 운송 수단은 고르게 발달되어 있으며, 운송비는 거리와 중량에 비례하고, 생산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이다. 다음으로 최소 운송비 지점, 노동비 절약 지점, 집적 이익 지점 등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1) 최소 운송비 지점
지역 간에 생산 요소의 가격에 차이가 없는 경우 총 운송비 최소 지점은 「원료 및 제품의 무게 × 원료 및 제품의 운송 거리」의 값이 최소가 되는 지점이다. 이 때 무게를 톤으로, 거리를 ㎞로 나타낸다면 총 운송비 최소 지점은 총 톤, ㎞ 최소 지점이 된다.

입지 삼각형에서 원료 산지와 동력 산지를 각각 M1, M2, 소비시장 C와 공장입지 p와의 거리를 각각 a, b, c라 하고, 운송되는 원료 및 제품의 무게를 각각 x, y, z라고 하면 공장 입지 P는 xa + yb + zc가 최소인 지점으로 결정된다.

베버의 공업 입지론 본문 이미지 1

(2) 노동비 절약 지점 : 베버는 운송비 최소 지점의 부근에 노동비가 특별히 저렴한 장소가 있으면 최적 입지 장소는 노동비가 저렴한 장소로 편의하게 된다고 하였다.

한편 운송비 최소 지점에서 노동 지향을 하는 지역의 범위를 알기 위하여 총 운송비 최소 지점을 중심으로 총 운송비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등비용선(isodapane)을 그릴 수 있다. 그림은 두 개의 원료 산지 (M1, M2)와 하나의 시장(K)을 가진 공업의 총 운송비 최소 지점을 P로 할 때의 등비용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노동비가 아무리 저렴한 장소가 있다고 하여도 노동비가 0이하로 되는 장소는 없다. 그러므로 총 운송비 최소 지점에서 노동 지향을 나타내는 지역 범위와 일치한다. 그림에서 만일 단위 상품당 노동비가 300원이라면 노동 지향 범위는 300원의 등비용선과 일치하는데, 이 등비용선을 한계 등비용선이라고 한다.

베버의 공업 입지론 본문 이미지 2

(3) 집적 이익 지점 : 기업은 분산 입지하는 경우보다 관련 기업들이 한 장소에 집적하면 집적의 이익이 발생하여 경영에 유리하다. 이 때문에 공업은 운송비 최소 지점에서 집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장소로 편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집적이 과도하게 진척되면 집적으로 인한 이익보다는 집적으로 인한 불이익이 더 커져서 기업은 집적 장소에서 분산하게 된다.

(4) 베버 이론의 비판 : 베버(Weber)의 입지론은 비록 고전 입지론에 속하지만 현재에도 모든 공업 입지론의 기틀이 되고 있으며, 특히 그의 등비용선과 집적의 개념은 오늘날에도 입지 해명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입지론은 너무 정태적이고 수요나 원재료 공급의 변동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노동력을 비유동적이고 무한하다고 본 것 등 현실과 괴리가 크다. 더구나 운송비가 톤, ㎞에 비례하고, 한 기업이 단일 소비 시장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은 비현실적이다. 또한 최근의 교통 혁신에 따른 운송비 인자의 비중 감소로 베버의 입지론의 의의가 감소하고 있다.

2. 확장 개념

1) 뢰쉬의 공업 입지론

뢰쉬는 수요 인자를 중시한 입지론을 전개하였다. 즉 총소득이 최대가 되는 지점(수요를 최대로 하는 지점)이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업 입지의 최적점이라고 하였다.

그는 공장으로부터의 운송 거리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증가하고, 수요량은 감소하여 일정 거리에 이르면 수요가 0이 된다. 이 수요가 0이 되는 지점을 한계로 하는 원이 공장이 독점할 수 있는 시장 범위가 되며, 공장은 그 원의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공장의 입지 패턴을 6각형의 벌집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2) 후버의 공업 입지론(교통 지향, 적환지 지향)

운송비는 거리에 따라 체감하며, 종착지 비용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시장이나 원료 산지와 같은 종착지가 입지 지점이며, 운송 수단이 바뀔 경우에는 수송 적환지 지점이 최적의 입지 지점이 된다는 이론이다.

베버의 공업 입지론 본문 이미지 3

3. 관련 지식

집적 이익

여러 산업이 한 지역에 집중하여 입지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어 얻는 이익을 말한다. 같은 종류의 산업이나 연계성이 큰 산업들이 집적되는 경우 전문 기술을 가진 숙련 노동력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고, 원료를 대량으로 공동 구입할 수 있으며, 원료나 제품을 공동으로 운송함으로써 운송비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문 서비스를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가 있다. 그리고 특정 제품을 전문화하여 상권을 형성할 경우 상호 경쟁에 의해 소비자들의 구매 행위를 촉진시킴으로써 시장 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러 종류의 부품을 조립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계 및 자동차 공업이나 각 단계별 생산물을 원료로 하여 완제품을 만드는 화학 공업 등 계열성이 강한 업종들이 집적되어 공업지역을 이룬다.

서로 다른 종류의 산업이 대도시에 집적하는 경우 도시는 도로, 철도, 항만, 공공 보건, 교육, 치안, 소방 등의 사회 간접자본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장이 대도시에 입지함으로써 이러한 사회 간접자본의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생산비뿐만 아니라 운송비, 판매비 등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대도시는 다양하고 넓은 규모의 시장과 풍부한 노동력을 갖고 있으며, 새로운 상품이나 생산 방식을 만들어 내는 기술 혁신이 일어날 가능성도 매우 높다.




'사는 이야기 > 부동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입지론  (0) 2018.09.05
준지대  (0) 2018.09.05
등비용선,등비용직선  (0) 2018.09.05
비가역성  (0) 2018.09.05
사회적 후생  (0) 2018.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