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화 경향
*금속 원소는 일반적으로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있는데, 금속이 수용액에서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을 이온화 경향이라고 한다. 금속의 종류에 따라 이온화 경향이 다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의 이온에게 전자를 주고 산화될 수 있지만,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은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의 이온과 반응할 수 없다. 따라서 이온화 경향이 클수록 금속의 반응성도 크다.
ⓒ (주)천재교육 | BY-NC-ND
*금속의 이온화 경향은 금속이 전자를 내놓고 양이온으로 되려는 경향을 의미하며, 이온화 경향이 클수록 전자를 잘 내놓으므로 양이온이 되기 쉽고, 산화가 잘 되므로 환원력이 크며, 산이나 물과의 반응성이 커진다.
ⓒ (주)천재교육 | BY-NC-ND
'사는 이야기 > 위험물기능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겐(COCl2) (0) | 2021.02.07 |
---|---|
메탄올-포름 알데히드-포름 산 (0) | 2021.02.07 |
BTX[벤젠, 톨루엔, 크실렌] (0) | 2021.02.06 |
장뇌 (0) | 2021.02.03 |
염화칼슘[CaCl2] (0) | 202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