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수학사전

左와 右 & 友에서 十

후암동남산 2014. 2. 8. 10:22

 

左와 右 & 友에서 十

 

 
'받들 공廾'과 '스물 입卄'에서 좌변은 '칼로 벨 별丿'이고 우변은 '내리 꽂을 또는 위로 뚫고 오를 곤丨"으로 '땅 坤[곤]'과 '하늘 乾[건]'으로 申에서 '하늘 축[軸]'을 말하며 해[日]가 뜨고 지는 알파[해가 뜨는 모양의 상형자]와 오메가[해가 지는 모양의 상형자]를 주관하는 神을 말한다.

 

丿[삐침 별 또는 칼로 벨 별 /1. 삐침 2. 삐치다/부수丿(삐침별)]로 刀[칼 도]와 力[힘 력], 男[사내 남]에 들어 있다.

尹에서 칼을 손으로 잡은 모습으로 칼은 왕검의 상징으로 왕위를 계승할 尹으로 왕위를 계승할 후보인 왕자들을 君으로 칭하며 君에 尹[다스릴 윤]이 들어 있다.

爭[싸움 쟁]에서는 亅[갈고리 궐/사나이 丁에 들어 있으며 강한 남성의 상징]로 丨[뚫을 곤]과 다르다. 闕[궐]의 발음이 [궐]인 이유이기도 하다.

亅[갈고리 궐 /1. 갈고리/부수亅(갈고리 궐)]

丨[뚫을 곤 /1. 뚫다 2. (셈대)세우다 3. 통하다(通--)/부수丨(뚫을곤)]

廾[받들 공, 스물 입/부수廾 (스물입발)]

卄[스물 입/1. 스물 2. 이십(二十)/부수十(열십)]

廿[스물 입 /부수十 (열십)]

廾[받들 공, 스물 입/부수廾 (스물입발)]

世[인간 세/대 세/부수一 (한일, 1획)]

회의문자

卋(세)의 본자(本字). 세 개의 十(십)을 이어 삼십 년을 가리켰으며 한 세대를 대략 30년으로 하므로 '세대'를 뜻함. 삼십을 나타내는 모양에는 따로 글자가 있으므로 이 글자와 구별(區別)하기 위하여 모양을 조금 바꿈

이형동의자(이체자)

丗 인간 세/대 세 (동자)㔺 인간 세/대 세 (고자)卋 인간 세/대 세 (통자)

'해가 진다 辰[진]'

厂[기슭 엄, 기슭 한, 공장 창 /1. 기슭 2. 언덕 3. 굴바위 4. 석굴 5. 민엄호 a. 기슭 (한) b. 공장 (창) c. 헛간 (창) d. 마구간(馬廏間) (창) e. 넓다 (창)/부수厂(민엄호)]

丆[구결자 면/1. 구결자(口訣字: 한문 문장에서 구두점을 찍을 곳에 붙이던 약호)/부수一(한일)]

廾[받들 공, 스물 입 /1. (두 손으로)받들다 2. 바치다 3. 팔짱끼다 a. 스물(십의 2배) (입) b. 밑스물 입(부수의 하나) (입)/부수廾(스물입발)]

左와 右에서 廾[받들 공]에서 공통된 상형소는 바로 厂[기슭 엄]과 丆[구결자 면]으로 해가 지평선인 ㅡ를 넘어 지거나 올라오는 모양의 상형소이다. 지평선이나 수평선을 나타내는 ㅡ와 칼로 벨 razor에 비유된 丿로 햇빛을 말하며 지는 태양의 빛을 말한다.

長에서 ㅡ도 지평선을 말하며 단계별로 段으로 해가 넘어가는 모양을 말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皁+丿=卑[하인 皁+丿=노비의 비]

皁[하인 조/ 1. 하인(下人) 2. 검정 3. 검은 비단(緋緞) 4. 말 열두 필 5. 쭉정이 6. 상수리 7. 도토리 8. 외양간 9. 마구간(馬廏間) 10. 구유(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그릇) 11. 마판(馬板: 마구간의 바닥에 깔아 놓은.../부수白(흰백)]

卑[낮을 비/1. 낮다 2. 왜소하다(矮小--) 3. 낮추다 4. 겸손(謙遜ㆍ謙巽)하게 대하다(對--) 5. 천하다(賤--) 6. 천하게 여기다 7. 비루하다 8. 저속하다 9. 쇠하다(衰--) 10. 가깝다 11. ~으로 하여금 ~하게 하다.../부수十(열십)]

皀[고소할 급, 고소할 핍, 고소할 벽, 향기 향, 하인 조/1. 고소하다(告訴--) 2. 낟알 a. 낟알 (핍) b. 고소하다(告訴--) (핍) c. 낟알 (벽) d. 고소하다(告訴--) (벽) e. 향기(香氣), 향(香) (향) f. 향료(香料) (향) g. 향기로움(香氣--) (향) h. 향기롭다(香氣--).../부수白(흰백)

皂[하인 조/1. 하인(下人) 2. 검정 3. 검은 비단(緋緞) 4. 말 열두 필 5. 쭉정이 6. 상수리 7. 도토리 8. 외양간 9. 마구간(馬廏間) 10. 구유(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그릇) 11. 마판(馬板: 마구간의 바닥에 깔아 놓은.../부수白(흰백)]

皁[하인 조]=皀[하인 조]=皂[하인 조]

阜[언덕 부/1. 언덕, 산 2. 백성(百姓) 3. 메뚜기(물건이 벗겨지지 않도록 꽂는 기구) 4. 크다, 크게 하다 5. 높다 6.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세차다 7. 많다, 풍성하다(豐盛--) 8. 자라다.../부수阜(언덕부)]

卓[높을 탁/1. 높다 2. 멀다, 높고 멀다 3. 높이 세우다 4. 뛰어나다 5. 멈추다, 세우다, 정지하다(停止--) 6. 탁자(卓子) 7. 마침, 바로 그때 8. 홀로/부수十(열십)]

早[이를 조/1. 이르다(앞서거나 빠르다) 2. 서두르다 3. 젊다 4. 일찍 5. 서둘러, 급(急)히, 빨리 6. 젊어서, 젊었을 때에 7. 새벽, 이른 아침/부수日(날일)]

屮[왼손 좌, 싹날 철, 풀 초/1. 왼손 a. 싹나다, 싹트다 (철) b. 싹 (철) c. 풀 (초) d. 초서(草書: 서체의 하나) (초) e. 초고(草稿) (초) f. 황야(荒野) (초) g. 암컷 (초) h. (풀을)베다 (초) i. 초고(草稿)를 쓰다 (초) j. 시.../부수屮(왼손좌)]

艹[풀 초 /1. 풀 2. 거친 풀, 잡초(雜草) 3. 황야(荒野) 4. 풀숲, 초원(草原) 5. 시초(始初) 6. 초고(草稿), 초안(草案) 7. 초서(草書: 서체의 하나) 8. 암컷 9. (풀을)베다 10. 시작하다(始作--), 창조하다(創造--).../부수艹(초두머리)]

早[이를 조]와 草[풀 초] & 皁[하인 조]

艹[풀 초]와 卄[스물 입/1. 스물 2. 이십(二十)/부수十(열십)]의 모양을 자세히 보면 十十으로 태양이 지평선과 수평선인 ㅡ를 뚫고 올라오는 丨[뚫을 곤]의 합으로 풀이 땅을 뚫고 오르는 생명의 탄생을 말하거나 상대성 이론에 의해 해가 지는 죽음을 동시에 나타낸다.

屰[거스를 역/1. 거스르다/부수屮(왼손좌)]의 부수가 屮[왼손 좌]인데 廾[받들 공, 스물 입/부수廾 (스물입발)]과 卄[스물 입/1. 스물 2. 이십(二十)/부수十(열십)]처럼 丿[칼로 벨 별]과 丨[뚫을 곤]이 같은 상형소로 간주되었다.

”屰” 를 구성요소로 가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한자

㡿[물리칠 척, 방자할 탁, 성씨 자]

逆[거스릴 역]朔[초하루 삭]欮[상기 궐]

하늘에서 내려오는 힘을 거역하고 오르는 모양이다. 오픈백과 한문어원어휘 directory에 실은 kyuinlim 집필 글 참조.

ㅛ는 豆에서 二로 위의 ㅡ는 하늘지붕을 말하고 아래 ㅡ는 땅을 말하고 가운데 口는 해를 말하고 光에 들어 있는 ㅛ로 태양이 올라오는 모양으로 金[해가 올라오는 모양]에 아랫부분에 들어 있다.

凵[입 벌릴 감 /1. 입 벌리다 2. 위 터진 그릇/부수凵(위튼입구몸)]으로 풀이나 나무가 땅을 뚫고 나오는 모양이거나 화산이 폭발하여 분화구를 통하여 마그마가 분출하는 모습이다.

艸[풀 초/1. 풀 2. 거친 풀, 잡초(雜草) 3. 황야(荒野) 4. 풀숲, 초원(草原) 5. 시초(始初) 6. 초고(草稿), 초안(草案) 7. 초서(草書: 서체의 하나) 8. 암컷 9. (풀을)베다 10. 시작하다(始作--), 창조하다(創造--).../부수艸(풀초)]

芔[풀 훼, 성할 휘/1. 풀 2. 초목(草木) 3. 많다 a. 움직이다 (휘) b.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휘) c. 일다 (휘) d. 성(盛)한 모양 (휘)/부수艸(풀초)]

茻[우거질 망 /1. (잡풀이)우거지다 2. 무성한 풀/부수艸(풀초)]

艹[풀 초]와 艸[풀 초] & 廾[받들 공, 스물 입/부수廾 (스물입발)]과 卄[스물 입/1. 스물 2. 이십(二十)/부수十(열십)]에서 左와 右에서 ㅡ와丿로 구성된 상형소는 해가 뜨고 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해가 나오는 곳은 우편이고 해가 지는 곳은 좌편이라는 Right[정의]와 Left[블의]라는 음과 양의 상대성이론이 적용된 것이다. 工[문이 닫힌 모양]과 口[문이 열린 모양]으로 開[열 개]와 閉[닫힐 폐]를 나타내고 영어로 minster와 sinister의 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