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수요함수·수요곡선의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후암동남산 2018. 11. 28. 21:37

수요함수·수요곡선의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수요곡선은 일반적으로 우하향이다. 이것은 다음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① 소득효과: 예산액이 같더라도 가격의 하락은 실질적인 예산의 증가를 의미한다. 예산의 실질적 증가에 의하여 수요는 대체로 증가한다. 이것을 소득효과라고 한다.

대체효과: 가격 Px의 하락은 다른상품의 가격이 불변이라도 상대적으로 다른 상품의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계는 상대적으로 비싼 상품의 수요를 줄이고, 그 대신 상대적으로 싼 상품의 수요를 증대시킨다. 이것을 대체효과라고 한다. 가격 Px의 하락에 의한 수요량 x의 증가는 소득효과에 의한 수요증가와 대체효과에 의한 수요증가의 합계와 같다.

가격변화 전의 예산제약직선이 AB이며, 최적점이 P이었다고 가정하자. 예산 M과 가격 Py가 불변이고 가격 Px가 하락하면, 예산제약직선의 횡축상의 A점은 A'로 옮겨져 새로운 예산제약직선은 A'B가 된다. 새로운 최적점은 새 예산직선 A'B와 무차별곡선 u4의 접점 P'이며, 상품 X의 수요량은 s'로 증가한다.

수요함수·수요곡선의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본문 이미지 1



가격하락에 의한 수요량의 증가는 두 효과의 합이다. 이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직선 A'B에 평행하고 점 P를 지나는 무차별곡선 u3에 접하는 직선 A"B"를 그려 넣고 그 접점을 P"라고 하자. 상품 X의 가격하락에 의한 최적점 P로부터 P'로의 변화는 상대가격의 변화에 근거하는 P로부터 P"로의 대체효과예산의 실질적 증가에 의한 P"로부터 P'로의 소득효과와의 합성이다.

상품 X의 수요대체효과에 의하여 ss'만큼 증가하고, 소득효과에 의하여 s"s'만큼 증가하여 결국 ss'의 증가가 된다. 대체효과는 상품 X의 수요량을 반드시 증가시킨다. 그러나 소득효과는 반드시 수요량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수요함수·수요곡선의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본문 이미지 2



이 같은 상품을 하급재() 또는 열등재()라고 한다. 예산의 증가에 의하여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을 상급재() 또는 우등재()라고 한다. 한 상품의 가격이 하락할 때, 그 상품이 상급재라면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는 모두 그 수요량을 증가시키고, 수요곡선은 반드시 우하향이 된다.

하급재라면 대체효과에 의한 수요증가와 소득효과에 의한 수요감소의 두 가지 중 어느 쪽이 큰가에 따라서, 이 상품의 수요량은 증가할 때도 있고, 불변일 때도 있으며, 감소될 때도 있다. 수요량이 감소하는 경우 이 상품의 수요곡선은 우상향이 된다. 이 현상을 기펜의 역설이라 한다. 그러나 수요곡선이 우상향으로 되는 기펜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상품에 대하여 수요곡선은 대체적으로 우하향으로 된다.





'사는 이야기 > 부동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윤 · 이윤률  (0) 2018.11.28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0) 2018.11.28
빈지濱地(한자)  (0) 2018.11.28
임차권등기명령  (0) 2018.11.26
용익물권(지상권,지역권,전세권)  (0) 201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