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MONEY EXPO 불황을 뚫어라]은행·보험전략, “가장 위험한 때가 가장 안전한 때다”
2012년 07월 03일 10시 33분
![]() |
은행과 보험사의 PB센터장은 하반기 재테크 시장에 대해 “투자할 마땅한 투자처가 없다” “부동산 보유가치도 하락할 것”이라며 변동성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며 한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냈다. 한 마디로 ‘한 치 앞을 내다 볼 수 없다’는 게 센터장들의 한결같은 전망이다.
이들 자산관리 전문가들은 하반기 투자의 이슈는 안정성을 꼽을 수 있는데 유럽문제가 빠른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계속 이슈화가 된다면 자산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금융 쪽으로 본다하면 하반기에는 더욱 변동성이 나타날 것이며 세후 수익률을 더 높일 상품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주식시장은 상반기가 지지부진했던 패턴을 하반기에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대부분이었다. 증권사 펀드상품도 고객스스로가 전혀 관심을 보이고 있고 증권사도 하반기 전망을 1750~2050P로 전망하고 있어 변동성이 큰 장세임에는 틀림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시장 투자패턴도 그동안 고위험 고수익 상품으로 짜여진 포트폴리오에서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 짜여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본적으로 불안한 장세로 장기간 계속 불황이 이이어질 것으로 전망이다. 이에 안정성에 비중을 많이 두고 포트폴리오를 70%는 안정성을 중시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식도 직접 투자 보다는 적립식펀드나 목돈투자는 ELS와 같은 상품을 이구동성으로 추천했다.
이에 <이코노믹리뷰>는 국내 은행과 보험사의 고액자산가들과 호흡하는 탁월한 능력의 재무설계사 8명의 눈을 통해 그들만의 노하우가 보석처럼 번득이는 전망과 해법을 들어봤다.
'사는 이야기 >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화하는 L자형 침체] 소비·수출·투자 일제히 뚝 뚝 뚝… 올 성장률 1.8% 전망까지 (0) | 2012.07.26 |
---|---|
'애그플레이션 공포' 식탁 덮쳤다 (0) | 2012.07.23 |
환율과 위험자산의 관계 (0) | 2012.07.22 |
디플레이션의 공포"노무라·S&P 등 잇단 경고음" (0) | 2012.07.19 |
‘DD 먹구름’ 몰려온다 (0) | 201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