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을 이겨내는 가정경제 10계명 불황을 이겨내는 가정경제 10계명 1. 비상금 만들기. 불황기 가정경제는 최악을 상상할 줄 알아야한다. 최악을 가정한다는 것이 괜히 마음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막연히 낙관만 하다가 생각대로 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가정경제는 최악의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는 것이..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3.25
[스크랩] 되고 법칙 / 교육용 ♡ 그대는 되고 법칙을 아는가? ♡ 돈이 없으면 돈은 벌면 되고 잘못이 있으면 잘못을 고치면 되고 안되는 것은 되게 하면 되고 모르면 배우면 되고 부족하면 메우면 되고 힘이 부족하면 힘을 기르면 되고 잘 모르면 물으면 되고 안 되면 될 때까지 하면 되고 길이 안 보이면 길을 찾을 때까지 찾으면 ..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3.09
[스크랩] 가훈자료 108가지 가훈 자료 108가지 01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다 02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끝에 낙이 온다는 말 03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04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행동을 한다 05 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3.09
[스크랩] 하바드대학도서관에쓰인30훈 하바드대학 도서관에 쓰인 30 訓 01.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공부하면 꿈을 이룬다. 02.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갈망하던 내일이다. 03.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04.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마라. 05. 공부할 때의 고통은 잠깐이지만 못 배운 고통은 평생..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3.09
[스크랩] 죽어도 안 빠지는 뱃살에 탄력을 주는 운동 동작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죽어도 안 빠지는 뱃살에 탄력을 주는 운동 동작 여자들의 영원한 고민, 뱃살. 운동을 하고 밥을 굶어도 마지막까지 빠지지 않는 부위가 바로 뱃살이다. 여름도 두렵고, 뭔가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당신을 위한 뱃살 빼는 방법. 아랫배 운동 1. 리버..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3.07
오십견에 도움이 되는 체조 오십견은 오십대를 전후해 어깨에 생기는 증상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견비통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오십견을 어깨가 굳어 딱딱해지는 증상 정도로 만만히 보면 안 됩니다. 심할 경우 말 그대로 손가락 하나 까딱하기 어렵고 극심한 통증이 따라오기도 합니다. 한의학..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2.27
등산화 ^^ 등산화 권경업 발에 꼭 맞는 등산화가 어디 잘 있습니까. 신다보면 뒤꿈치도 까지고 터진 물집도 갈앉고 해서 편해지면 그 때부터, 먼 길이던 험한 길이던 함께 갈 수 있는 것이지요. 부부사이의 일이나 사랑도 이와 같아서 때로는 삐걱이고 고통스럽더라도 굳은 살 앉을 때까지 참고 가야지요. 오랜 ..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2.25
산행시의 보행자세 [등산학교 명강사의 족집게 강좌] 걷기 - 원종민 “세컨드 윈드의 비밀을 터득하라!” 오르막에서 8자 걸음은 기름을 흘리며 달리는 자동차와 같아 산행의 가장 기본은 걷기다. 걸어서 시작해서 걸어서 끝나는 게 산행이니 등산에서 걷기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등산의 기본이자 전부라 할 ..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2.16
기질에 따른 교제술이란... 사람의 기질을 알고 교제술에 이용하는 원칙은 지극히 간단하게 다음과 같다. (1) 상대의 기질상 싫어하고 상처 입을 만한 언동은 피한다. (2) 상대의 기질상 기뻐하고 기분 좋아할 언동을 하도록 노력한다. (3) 상대의 명료하지 않은 표현은 기질 탓으로 이해하며 진의를 파악한다. (4) 상대의 불쾌한 언..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2.15
체중 감량운동법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전신살 빼기 - 1 - 오른쪽 다리는 뒤로 펴고 왼쪽다리는 앞쪽으로 구부리고 섭니다. - 양손에 아령을 쥐고 팔은 구부려서 몸통에 가볍게 닿게 합니다. - 오른 팔, 왼 팔을 번갈아 가며 앞 뒤로 90도가 되게 천천히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합니다. - 다리 위치를 .. 사는 이야기/행복한공부 2010.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