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포비아(xenophobia·외국인 혐오증)’ .1. 낯선 것 혹은 이방인이라는 의미의 '제노(Xeno)'와 싫어한다는 뜻의 '포비아(Phobia)'가 합성된 말로서 '이방인에 대한 혐오현상'을 나타낸다. 제노포비아는 악의가 없는 상대방을 자기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무조건 경계하는 심리상태의 하나로, 이는 자기과보호(과보호) 의식 때문에 일..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25
앨거리듬 = 알고리즘 알고리즘 알고리즘(영어: algorithm 알고리듬[*], IPA: [ǽlɡərìðm])이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동작들의 유한한 모임이다. 목차 [숨기기] 1 알고리즘의 조건 2 알고리즘의 연구 분야 3 알고리즘의 분석 기준 4 평균과 최악의 경우 분석 5 같이 보기 6 바깥 고리 [편집] 알..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20
유리식 [有理式, rational expression] 유리식 [有理式, rational expression] 요약 다항식과 분수식을 합쳐서 유리식이라고 하며 이러한 유리식 가운데서 분모에 문자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다항식, 분모에 문자를 포함한 것을 분수식이라고 한다. 본문 다항식과 분수식을 합쳐서 유리식이라고 한다. 근호(根號) 안에 문자가 포함되..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19
분수함수 [分數函數, fractional function] 분수함수 [分數函數, fractional function] 요약 함수 y가 변수 x에 대해 분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을 때를 말한다. 분수함수는 분모가 0이 되는 실수값에서는 함수값이 정의되지 않는다. ↑ 분수함수 / 본문 이를테면, y=1/x, y=x+1/x, y=(3x+7)/(x+1) 등은 x에 대한 분수함수이다. 분수함수는 분모..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19
번분수 [繁分數, complex fraction] 번분수 [繁分數, complex fraction] 요약 분수의 분자·분모 중 적어도 하나가 분수인 복잡한 분수. 본문 임의의 번분수는 단순한 분수로 고칠 수 있다. 이를테면, 일반적으로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또, 분모 또는 분자가 분수식인 복잡한 분수식을 번분수라 하기도 한다. [출처] 번분수 [繁分..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19
분수식 [分數式, fractional expression] 분수식 [分數式, fractional expression] 요약 문자가 포함된 분자 P(x)와 분모 Q(x)을 갖는 분수 f(x)=P(x)/Q(x)에 있어서, Q(x)가 1차 이상의 정식인 것을 말한다. 본문 P(x)를 분자, Q(x)를 분모라 한다. 즉, 분모에 문자를 포함한 유리식이므로 유리분수식(有理分數式)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또, 식을 정..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19
유효숫자 [有效數字, significant figure ] 유효숫자 [有效數字, significant figure] 요약 근삿값을 구할 때 반올림 등에 의하여 처리되지 않은 부분으로 오차를 고려한다 해도 신뢰할 수 있는 숫자를 자릿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숫자의 부분을 따로 떼어서 정수 부분이 한 자리인 소수로 쓰고, 소수점의 위치는 10의 ..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16
알고리즘 [algorithm ] 알고리즘 [algorithm] 요약 유한한 단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이다. 주로 컴퓨터용어로 쓰이며, 컴퓨터가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적 방법을 말한다. 본문 원래는 인도에서 아랍을 거쳐 유럽에 보급된 필산(筆算)을 뜻하며, 아랍의 수학자인 알콰리즈미(Alkwarizmi, 780-..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2.04.16
항등원 문제 집합 s={2nㅣn은 정수}에 대하여 다음 중 옳지 않은것은?2개 1.덧셈에 대한 항등원은 0이다 2.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1이다 3.덧셈에 대한 2의 역원은 -2이다 4.곱셈에 대한 4의 역원은 1/4이다 5.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각각 닫혀있다 답) 2번과 4번 우선 s라는 집합은요..{....-4,-2,0,2,4,....} 이..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1.12.09
복소수의 역원 질문 (i=imaginary number 루트 -1로 정의한다) 복소수 2i / 1 + i (1+i분에 2i)의 덧셈에 대한 역원을 a 곱셈에 대한 역원을 b라 하면 a-2b의 값은?? ================================================================================================= 2i 2i(1-i) 2i-2i² 2i-2×(-1) 2i+2 ── 우선 간단히 해보면 ───── = ───.. 사는 이야기/수학사전 201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