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무신정권 계보 고려 무신정권 계보(1): 1170~1270, 정경이 충우항의 김임연유, 중도교정 한국 / 세계사-상식 족보 2012/05/02 18:45 * 외통수: 무신정권의 시기는 1170~1270이라 외우기 쉽다. 그리고 그 시기 최고의 실권자였던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의 머리글자를 따 '정경이'로, 그 뒤를 이은 최충헌-최우-최항-최..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6.09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김준 무신정권 김준 1) 김준 정권 (1) 김준의 출세 金俊의 집권은 곧 4대 60여 년에 걸친 崔氏武臣政權의 몰락을 의미하였다. 최씨가의 마지막 집권자인 崔竩가 고종 45년(1258)에 김준과 그 일파에 의해 살해되었고, 이로써 최씨 정권은 막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최씨정권이 붕괴되었다 하여 ..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6.09
숭의전대제 안내 (2012년3월24일) 숭의전대제 안내 - 종친님들의 적극적인 참석을 바랍니다.| 숭의전대제 일시: 2012년 3월 24일(토요일) 차편: 용산역 이마트앞에서 8시30분에 출발(버스2대) 점심: 행사장에서 도시락제공 회비: 없음 ♣ 종친님들의 적극적인 의지로 많은 분들이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기 바랍니다. ♣ ..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3.24
[스크랩] 이담속찬 (耳談續纂) -정약용 편찬에 나오는 속담 (2) 이담속찬 (耳談續纂) -정약용 편찬에 나오는 속담 (2) 盲人之睡 如寤 (맹인지수 여오) 소경은 잠을 자나 마나 그 모습이 같다. 明其爲賊 敵乃可服 (명기위적 적내가복) 그 나쁘게 함(옳지 못 함)을 밝혀야 적이 곧 항복할 수 있다. 蒙此鐵錡 入于潭水 (몽차철기 입우담수) 쇠가마를 쓰고 깊은..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3.19
선천정 심장병 환자의 아버지 "서동만 교수" 아이는 엄마 뱃속에서부터 심장의 한쪽이 쪼그라든 상태로 태어났다. 다섯 번의 크고 작은 수술을 받고, 다른 한쪽 심장으로 다른 아이처럼 씩씩하게 지내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는 아이에게 지난 여름 보완수술이 필요하자, 그곳 주치의인 유명 흉부외과 교수..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2.26
고려의 서희 장군 993년(성종 12), 거란이 고려를 침입했다. 봉산군을 함락시킨 거란 장수 소손녕은 공문을 보내 알렸다. “80만의 군사가 도착했다. 만일 강변까지 나와서 항복하지 않으면 섬멸할 것이니, 국왕과 신하들은 빨리 우리 군영 앞에 와서 항복하라.” 건국 75년 만에 고려에게 국운을 위협하는 심..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2.26
독립운동가 서재필 전용뷰어 보기 “독립은 선전만으로 될 수 없고 허장성세만으로 될 수 없다. 독립의 가장 근본적 요소는 각성한 민중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민중교양에 총력을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2천만 민중이 총궐기하여 독립을 부르짖게 되면 한국의 독립은 반드시 성취될 것이다.” - 1921..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2.26
조선의 대표적인 처사 화담 서경덕 스스로 깨달아 얻는 학문적 독립성으로 일관한 삶 집이 가난하여 매일 들에 나가 나물을 뜯어와야 하는 소년이 있었다. 매일 늦게 돌아오면서도 소년의 바구니에는 나물이 별로 없었다. 부모가 소년에게 까닭을 물었다. “나물을 뜯다가 새끼 새가 나는 것을 보았습니다. 첫날은 땅에서 ..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2.26
독립유공자 서일 우리 독립운동사에 빛나는 청산리전투를 아는 사람은 많아도 그 전투의 실질적 지도자인 서일 선생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교육자 종교인 언론인이기도 했던 그는 만주지역에서 항일무장투쟁을 가장 적극적으로 전개한 분이다. 일제(日帝)를 깨부술 수 있는 것은 힘뿐이라고 믿었던 ..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2.02.26
[스크랩] 거가십훈에대한 참고 高麗侍中節孝先生徐公韓綾居家十訓條列 ① 부식삼강(扶植三綱) : 삼강을 지킬 것 ② 돈서오륜(惇敍五倫) : 오륜을 돈독히 하여 질서를 세울 것 ③ 관이어하(寬以御下) : 너그러운 맘으로 아랫사람을 대할 것 ④ 예이사상(禮以事上) : 예로써 윗사람을 섬길 것 ⑤ 임상치애(臨喪致哀) : 상을 당하여는 슬.. 사는 이야기/이천서씨(절효공파) 201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