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민 실용 논리 6단계 툴민 실용 논리 6단계 1. 안건 : ~에 대하여 o 주제 속에서 안건을 정한다. o 안건은 찬성과 반대가 공존해야 한다. o ‘주제’ 또는 ‘제목’이라고도 한다. o 안건은 찬성과 반대가 서로 맞설 수 있는 것으로 정한다. 2. 결론 : ~ 찬성한다. 반대한다 3. 이유 : 왜냐하면 ~하기 때문이다. o 추상.. 사는 이야기/인터넷 공부방 2018.12.25
두마음 토론 두 마음 토론이란? 토론 주제에 대해서 찬,반 모두의 입장에서 토론을 해 보고 최종 결정을 내리는 토론! 처음 두 마음 토론을 수업에 적용했을 때 아이들에게 알, 느, 실 발표를 해보라 했더니 '항상 토론을 하면 이 말도 맞는 것 같고, 저 말도 맞는 것 같아서 결정을 내리기 헷갈렸는데 .. 사는 이야기/인터넷 공부방 2018.12.25
벽보토론 벽보토론 벽보토론은 토론에 문외한인 학생들을 가장 쉽게 토론의 광장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아무리 열심히 토론수업을 하여도 수업시간에만 하는 토론으로는 한계가 있고 자칫 소수의 뛰어난 학생들의 잔치가 되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바로 벽보토론.. 사는 이야기/인터넷 공부방 2018.12.25
공동학습, 共同學習 협동학습 공동학습, 共同學習, , 분단학습 다른 표기 언어 cooperative learning , 協同學習 요약 학습 수준이 다른 여러 학생들이 소집단 안에서 동일한 학습 목표를 가지고 함께 활동하는 학습 방법. 1700년대 후반 영국의 조지프 랭카스터와 앤드루 벨에 의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긍정적 상호.. 사는 이야기/인터넷 공부방 2018.12.25
‘나는 오십에 영어를 시작했다’ 40대에 일본어 독파하고, 최근 ‘나는 오십에 영어를 시작했다’ 출간 나이 40에 대학 입학하고, 13년만에 박사학위 취득 30대엔 한글문화연대 결성하고 대학에서 한국사 강의 개그맨에서 사회자, 교수 등으로 자신의 길을 넓혀온 방송인 정재환 씨는 한글문화연대의 산증인이다. 그는 한.. 사는 이야기/함께하는 이야기 2018.12.25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이란?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번역보기 많은 분들이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은 알고 있지만,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에 대해서는 모르실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이디어 창출시에 꼭 필요한 기법이며, 독일의 베른트 로르바흐[Bernd Rohrbach] 교수가 브레인스토밍의 문제점을 극복하.. 사는 이야기/인터넷 공부방 2018.12.25
가치수직선 7일 목요일에 빈센트 반 고흐 감상 수업을 할 때 불현듯 떠오른 질문. 빈센트 반 고흐처럼 살아 있을 때는 가난하고 힘든 삶을 살았으나 죽고 난 후 후대에 인정받는 삶과 그 반대의 삶 중 나라면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신호등토론으로 적합한 논제이지만 우리 반 아이들과 새로운 토.. 사는 이야기/인터넷 공부방 2018.12.25
2018 전국 대학순위 top100 2018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 1~20위 종합 순위 1위는 '서울대'가 차지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 듯 합니다. 과거에는 카이스트(KAIST)와 포스텍(POSTECH, 옛 포항공대)이 경합을 벌인 적이 있지만 카이스트와 포항공대는 종합 대학이 아닌 이공계열 특성화 대학이라는 점에서 .. 사는 이야기/대학입시정보2017 2018.12.17
[이렇게 살아보자] [이렇게 살아보자] 멀리 있다 해서 잊어버리지 말고 가까이 있다 해서 소홀하지 말라 좋다고 금방 달려들지 말고 싫다고 해서 금방 달아나지 말라 부자는 빈자를 얕잡아보지 말고 빈자는 부자를 아니꼽게 생각하지 말라 악을 보거든 뱀을 보듯 피하고 선을 보거든 꽃을 본듯 반겨라 타인.. 사는 이야기/오늘의 명언록 2018.12.17
"훌륭한 사람 말고 성실한 사람 되려 하죠" 사회역학 개척, 김승섭 고려大교수 작년 14개 출판상… 새책 출간 김승섭 교수는 “죽는 것보다 사는 게 낫고, 아픈 것보다 건강한 게 낫다는 게 보건학의 기본 전제”라며 “가난하고 차별받는다는 이유만으로 사람이 일찍 죽어서는 안 된다는 걸 증명 하는 게 사회역학을 연구하는 학자.. 사는 이야기/함께하는 이야기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