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지대 준지대[準地代, quasi-rent] 마샬(Marshall, A.)은 공장, 기계 등과 같이 내구적 자본설비의 이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대가를 준지대라고 하였다. 즉 자연의 선물인 토지에서 얻어지는 소득을 지대라고 하는 것을 본떠서 어떤 특정한 기계가 지대에 준하는 소득을 낳는 데 대해서 준지대라고 이름 ..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5
베버의 공업 입지론 베버의 공업 입지론 교과단원경제지리, Ⅲ. 공업과 무역, Ⅲ-2 공업 입지 이론목차1. 교과서 속 주개념베버의 공업 입지론2. 확장 개념1) 뢰쉬의 공업 입지론2) 후버의 공업 입지론(교통 지향, 적환지 지향)3. 관련 지식집적 이익1. 교과서 속 주개념베버의 공업 입지론20세기 초반, 독일의 학..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5
등비용선,등비용직선 1.등비용선 장기에 있어서 총비용으로 기업이 구입할 수 있는 자본과 노동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연결한 직선이다. 소비자선택이론에서 예산선에 해당하는 개념이 등비용선이다. 2.등비용직선[equal cost line, 等費用直線] 요약 동일 비용으로 노동과 자본재의 2가지 생산요소를 구입할 수 ..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5
비가역성 비가역성[非可逆性] 어떤 부동산문제가 악화되면 이를 완전한 옛 상태로 회복하기는 사회·경제·기술면에서 어렵다는 부동산문제의 특성을 말한다.몇 가지 구체적인 보기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① 지가가 폭등하면 폭등한 지가수준(land price level)으로 경제상태가 형성되며 가격이 잘..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5
사회적 후생 사회적 후생[社會的 厚生, social welfare음성듣기] 사회구성원들의 복지 수준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후생의 개념적 범위가 넓으므로, 그 증감을 화폐로 측정할 수 있는 부분만을 취해서 이를 경제적 후생(eco- nomic welfare)이라고도 한다.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4
외부경제와 외부불경제 외부경제와 외부불경제한때 자동차는 도시 환경을 개선한 구세주였다 우리는 일상생활 중에 전혀 의도하지 않게 다른 누군가에게 긍정적인 혜택을 주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생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독감에 걸리지 않기 위해 독감 예방 주사를 맞았다면, 이는 자기 자신..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4
부종성 부종성[附從性] 주된 권리·의무에 부수적인 권리·의무가 따르는 성질을 말한다. 채권을 담보하기 위해 저당권이나 질권을 설정하거나 보증인을 세울 경우, 채권이 소멸하면 함께 저당권이나 질권, 보증인의 보증채무도 함께 소멸한다. 그런데 이러한 부종성을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면 ..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3
전세권 1.전세권 傳貰權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일정기간 그 용도에 따라 사용 ·수익한 후, 그 부동산을 반환하고 전세금의 반환을 받는 권리 2.전세권 [傳貰權] 요약 전세금(傳貰金)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일정기간 그 용도에 따라사용 ·수익한 후, 그 부동산을 반환하고 전..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3
구분지상권 1.구분지상권 區分地上權 다른 사람이 소유한 토지의 지상이나 지하의 공간에 대하여 상하의 범위를 정해 그 공간을 사용하는 지상권의 한 가지 2.구분지상권[區分地上權] 요약 건물 및 그밖의 공작물을 소유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이 소유한 토지의 지상이나 지하의 공간에 대하여 상하..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3
법정지상권 1.법정지상권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상권 2.법정지상권 [法定地上權] 법정지상권이란 당사자의 계약에 의하지 않고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연히 성립하는 지상권이다. 법정지상권이 성립하는 예로는 (1) 토지와 그 지상의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속하는 경우에, ㉮ 건물에 .. 사는 이야기/부동산이야기 2018.09.03